mouse block


러시아 로켓엔진의 면허생산을 고려할 지 모를 미국 군사와 컴퓨터

U.S. May Seek License for Russian Rocket Engines (기사 링크)

DefenseTech의 3월 12일자 기사로, 오바마 미 대통령이 우크라이나에 병력을 보낸 러시아를 어떻게
제제할 지를 논쟁하는 시점인데도 불구하고, 미 정부는 어떻게 하면 러시아제 RD-180 로켓 엔진의 미
국 현지 면허생산을 따낼 수 있을 지를 검토 중이라는 소식입니다.


© Lockheed Martin

미국은 우주로 군사 및 첩보 위성을 쏘아올리는 일을 러시아제 엔진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록히드 마
틴 (Lockheed Martin)과 보잉 (Boeing)의 합작투자사인 ULA (United Launch Alliance)는 EELV (E-
volved Expendable Launch Vehicle)로 불리는 프로그램에 따라 중형 및 대형 발사로켓을 독점적으
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ULA사는 아틀라스 V (Atlas V) 로켓에 러시아제 RD-180를 주 엔진으로 사용하고 있다고 합니
다. 미국은 앞으로 수년 동안 위성 발사를 지원할 정도로 충분한 RD-180 엔진을 보유하고 잇지만, 미
정부 관계자들은 향후 RD-180 엔진의 공급이 어려워질 것을 우려하고 있다고 합니다.

바로 정치-사회적으로 혼란에 빠져있는 우크라이나 서부에 위치한 크림반도에 러시아가 병력을 파견
한 일로 미국과 러시아 사이에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기 때문이죠.

에릭 패닝 (Eric Fanning) 미 공군 국장은 RD-180 엔진에 대한 미국과 러시아 사이의 협력은 양쪽 모
두에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면서도, 미 공군과 다른 부서들은 미국이 너무도 중요한 장비를 해외에
의존한다는 점에 대해 항상 우려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 U.S. Air Force

지난 3월 11일에 미 워싱턴DC에서 기자들과 조찬을 가지면서 이 같은 언급을 한 패닝 국장은 지금까
지 RD-180 엔진에 대한 양국의 협력은 굳건했다고 덧붙였습니다.

미국은 2016년까지 위성 발사를 지원할 RD-180 엔진을 충분히 보유 중이지만, 이 엔진의 공급에 영
향을 줄만한 상황이 현재 미국과 러시아 사이에 발생할 거라는 어떠한 징조도 면밀하게 모니터 중이
라고 패닝 국장은 언급했습니다.

러시아 측이 아직 미국에 RD-180 엔진의 공급을 끊어버리겠다고 공개적으로 위협하진 않았지만, 군
사용 로켓 프로그램에서 더 많은 경쟁과 업체를 끌어들여야 한다고 지지하는 관측자들은 이 같은 시
나리오 (즉, 러시아의 엔진공급 중단 가능성)를 자주 제기하고 있다고 합니다.

지난주에 열린 미 상원의 국방예산 소위원회 (Senate Appropriations Defense Subcommittee)의 청
문회에 출석한 신생 로켓 제조사인 스페이스X (Space Exploration Technologies Corp)사의 CEO인
엘론 머스크 (Elon Musk)는 아틀라스 V 로켓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우주 출입 허가에 의존하고 있
는 한, 이 로켓이 우주로 진입하는 걸 보장할 수 없다고 언급했습니다.


© U.S. Air Force

스페이스X사는 EELV 프로그램의 로켓 발사를 완료하기 위해 미 공군으로부터 인증을 받아내려고 애
쓰고 있는 기업입니다. 패닝 국장은 미 공군이 향후 위성발사 임무를 위한 입찰에 참여시켜 달라는 업
체들의 청원을 지연시켰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스페이스X사가 인증받는 데 더 많은 시간을 부여받도록 하기 위해서라고 패닝 국방은 언급했습
니다. 또다른 이슈로는 발사에 들어가는 비싼 비용이라고 합니다. EELV 사업은 2030년까지 7백억 달
러의 비용이 들어갈 것으로 미 회계감사국 (GAO)는 추정하고 있습니다.

RD-180 엔진에 대해서, 패닝 국장은 미 공군이 위성 발사에 매우 핵심적인 부품 - 엔진 - 을 더 다양
한 공급처로부터 받았으면 한다고 밝혔습니다. 설사 미국 현지에서 RD-180 엔진을 생산하는 라인을
시작하는 면허를 받는다고 해도, 미 공군은 RD-180에 대한 대안이 무엇이고, 거기에 실제로 얼마나
많은 비용이 들어갈 지에 대해 연구 중이라고 합니다.

패닝 국장은 현재 이 같은 내용의 사업대안분석 (business case analysis)이 진행되고 있다고 언
했습니다. 기사 내용은 여기까지입니다. 뭐, 우크라이나 사태로 미국과 러시아의 로켓 엔진에 대
한 협력이 깨질 것이라고 보진 않습니다만, 미 정부가 이번 일을 계기로 로켓 엔진의 자체 개발을 고
려할 가능성도 배제하진 못할 것 같습니다.


© U.S. Air Force 

사진 출처 - 록히드 마틴 Flickr 페이지 (링크) / 미 공군 Flickr 페이지 (링크)

덧글

  • wheat 2014/03/15 22:00 #

    로켓엔진 만드는게 좀 어려운 일이 아닌건 알지만, 미국 쯤 되는 나라가 왜 로켓 엔진 자체 개발을 못하는건지...
  • 김치찌짐 2014/03/15 23:38 #

    못하는건 아니고 싸서 채용한거죠. 미국이 대체품을 만드려고 마음을 먹으면 어렵진 않습니다.
  • dunkbear 2014/03/16 22:49 #

    돈과 효율성 때문이겠죠. 별 다른 이유가 있을 리가...
  • 냥이 2014/03/15 23:22 #

    예전에 만들었던 엔진도면이 어딘가에 있을껀데 못 찾았나 보군요.
  • dunkbear 2014/03/16 22:49 #

    사실 미국 정도면 새로 만들어도 그만인데...
  • 티거 2014/03/15 23:37 #

    소련과 우주경쟁을 같이 한 나라가 왜 이모양이 됬을까요 -_-;;;

    당장 아폴로 / 새턴 V 센터에 보관되어 있는 세턴 V가 어떠한 표정을 지을지 궁금합니다.
  • dunkbear 2014/03/16 22:50 #

    애초부터 그 우주경쟁이라는 것 자체가 "경쟁"에만 의의가 있었던 지라...
  • 최강로봇 도라에몽 2014/03/15 23:46 #

    미국이 왜 이런.... 이상타... 미국도 만만찮은 로켓엔진 기ㅜㄹ이 있을 터인데...

    그렇잖음 그 많응 icbm은 누구의 엔진으로 만들어졌을꼬....
  • 로리 2014/03/16 14:49 #

    ICBM은 고체 로켓이니까요
  • dunkbear 2014/03/16 22:50 #

    탄도미사일과 위성발사용 로켓은 좀 다르지 않을까요.
  • 냥이 2014/03/17 00:54 #

    오비탈사의 어떤 우주로켓은 4단이 다 고체로켓인데 특히 1단 로켓을 피스키퍼1단을 사용했었지요.
  • 존다리안 2014/03/16 00:30 #

    http://en.wikipedia.org/wiki/Delta_(rocket_family)
    이런 대안도 있어서 굳이 큰 문제가 있어보이지는 않지만 그래도 앞으로의 스케쥴을 생각하면 대안
    쯤은 마련해 두는 것도 좋겠죠.
  • dunkbear 2014/03/16 22:53 #

    그렇게 하는 게 좋겠죠.
  • 玄武 2014/03/16 01:08 #

    이걸 근시일내에 보게 될수도 있겠군요
    http://eggy.egloos.com/3950165
  • dunkbear 2014/03/16 22:55 #

    그렇게 될 지도 모르겠습니다. 올드보이의 귀환이라...
  • 아우구스토 2014/03/16 09:51 #

    경제적이니 채용하죠. 미국도 자국제 엔진 잘 못써먹는 맛이 많아서요.
  • dunkbear 2014/03/16 22:55 #

    싸고 좋다 이거군요. ㅎㅎㅎ
  • 가릉빈가 2014/03/16 10:27 #

    나의 천조국은 이렇지 않아!
  • dunkbear 2014/03/16 22:56 #

    하지만 현실은 시궁창!!!
  • Ithilien 2014/03/16 12:24 #

    개인적으론 F-1 재설계가 다시 현역으로 뛰길 바래봅니다.
  • dunkbear 2014/03/16 22:56 #

    실제로 그렇게 될 지도 모르겠습니다.
  • 로리 2014/03/16 14:45 #

    RD-180 은 해당 엔진으로 최고의 명품 중에 하나입니다. F-1 재설계가 맞지 않는 이유는 F-1은 너무 크거든요. 400톤급 엔진으로 범용성이 아주 높습니다. 대형 위성을 발사할 단일 엔진으로 저만한게 없어요. 저런 것을 다시 만드는 것은 할 수야 있지만 쉽지 않은 일이고 전체 스케쥴이 문제가 됩니다.

    원래 나로호 이전에 한국이 저걸 라이센스 하려고 했는데 미국이 하지 말라고 했죠 T_T
  • 긁적 2014/03/16 21:05 #

    대강 돈 문제일 듯했는데 이런 사정이 있었군요. 정보 감사합니다~
  • dunkbear 2014/03/16 22:57 #

    설명 감사합니다. (^^)
  • 긁적 2014/03/16 21:02 #

    천조 : 정치랑 돈은 별개라고!!
  • dunkbear 2014/03/16 22:57 #

    러시아에게도 똑같이 적용되죠. ㄲㄲㄲ
  • Niveus 2014/03/17 00:06 #

    크고 아름다운 F-1엔진이 다시 나오는걸까요. (두근두근)
    ...오 이러면 오히려 더 좋은게 남자의 마음(...야;;;)
  • dunkbear 2014/03/17 08:48 #

    크고 아름다운 엔진은 로망이고 진리니까요. ㅎㅎㅎ
※ 로그인 사용자만 덧글을 남길 수 있습니다.



호무호무한 검색

Loading

통계 위젯 (화이트)

535
314
5042514

2011 이글루스 TOP 100

2010 이글루스 TOP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