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124 nears production revival (기사 링크)
Flightglobal의 1월 4일자 기사로, 우크라이나와 러시아가 안토노프 (Antonov) An-124 대형수송기의
생산을 재개할 계획이라고 우크라이나 정부가 밝혔다는 소식입니다. 이 계획은 지난해 (2013년) 12월
17일에 양국 정부가 동의한 경제협력의 일환이라고 하네요.

© 2014 Vitaly V. Kuzmin
미콜라 아자로프 (Mykola Azarov) 우크라이나 총리는 우크라이나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제 엔진을
장착한 An-124 수송기의 양산을 재개하기로 했다면서, 총 80대의 기체가 생산될 것이라고 언급했습
니다. An-124의 판매로 얻는 수익은 미화 800억 달러에 이를 거라고 아자로프 총리는 덧붙였습니다.
아자로프 총리는 An-124 대형수송기를 도입하려는 고객을 밝히지는 않았지만, 이번 합의로 우크라
Flightglobal의 1월 4일자 기사로, 우크라이나와 러시아가 안토노프 (Antonov) An-124 대형수송기의
생산을 재개할 계획이라고 우크라이나 정부가 밝혔다는 소식입니다. 이 계획은 지난해 (2013년) 12월
17일에 양국 정부가 동의한 경제협력의 일환이라고 하네요.

© 2014 Vitaly V. Kuzmin
미콜라 아자로프 (Mykola Azarov) 우크라이나 총리는 우크라이나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제 엔진을
장착한 An-124 수송기의 양산을 재개하기로 했다면서, 총 80대의 기체가 생산될 것이라고 언급했습
니다. An-124의 판매로 얻는 수익은 미화 800억 달러에 이를 거라고 아자로프 총리는 덧붙였습니다.
아자로프 총리는 An-124 대형수송기를 도입하려는 고객을 밝히지는 않았지만, 이번 합의로 우크라
이나가 향후 수십년간 대형 화물의 국제수송 분야에서 주도권을 가지도록 만들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Flightglobal의 Ascend Online Fleets 데이터베이스에 따르면 총 31대의 An-124 수송기가 현재 안토
노프 항공 (Antonov Airlines)과 볼가-드네프르 항공 (Volga-Dnepr Airlines)을 포함한 6개의 운용 주
체에 의해 운용되고 있다고 합니다.

© 2014 Vitaly V. Kuzmin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이번 합의에는 어려움을 겪고 있는 안토노프 An-70 프로팬 (profan) 전술수
송기 사업에 대한 언급은 없었답니다. 지난해 (2013년), 러시아 공군은 An-70 수송기의 느린 시험 일
정에 불만을 표했으며, An-70 사업에서 발을 뺄 때를 대비한 계획도 준비 중이라고 밝힌 바 있습니다.
기사 내용은 여기까지입니다. An-225에 이어서 세계에서 두번째로 큰 수송기인 An-124 러슬란 (Ru-
slan)이 본격적으로 수송기 시장에 다시 모습을 드러내는 것 같습니다. 2008년과 2009년 사이에 An-
124를 생산할 지 여부를 두고 엇갈린 기사들이 오고갔었는 데, 이번에는 어떨 지 궁금합니다.
사진 출처 - Vitaly V. Kuzmin Military Blog (링크)
Flightglobal의 Ascend Online Fleets 데이터베이스에 따르면 총 31대의 An-124 수송기가 현재 안토
노프 항공 (Antonov Airlines)과 볼가-드네프르 항공 (Volga-Dnepr Airlines)을 포함한 6개의 운용 주
체에 의해 운용되고 있다고 합니다.

© 2014 Vitaly V. Kuzmin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이번 합의에는 어려움을 겪고 있는 안토노프 An-70 프로팬 (profan) 전술수
송기 사업에 대한 언급은 없었답니다. 지난해 (2013년), 러시아 공군은 An-70 수송기의 느린 시험 일
정에 불만을 표했으며, An-70 사업에서 발을 뺄 때를 대비한 계획도 준비 중이라고 밝힌 바 있습니다.
기사 내용은 여기까지입니다. An-225에 이어서 세계에서 두번째로 큰 수송기인 An-124 러슬란 (Ru-
slan)이 본격적으로 수송기 시장에 다시 모습을 드러내는 것 같습니다. 2008년과 2009년 사이에 An-
124를 생산할 지 여부를 두고 엇갈린 기사들이 오고갔었는 데, 이번에는 어떨 지 궁금합니다.
사진 출처 - Vitaly V. Kuzmin Military Blog (링크)
덧글
그건 그렇고 요즘 An-124는 군용 보다 민수용을 많이 봐서 그런지 군용도장한게 더 어색해 보이더군요.
아마 위의 사진에 나오는 볼가-드네프르 것이 가장 잘 알려진 도색일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