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use block


드디어 INS 비크라마디티야 항모를 인도받은 인도 해군 군사와 컴퓨터

India To Commission Russian Carrier (기사 링크)

지난 11월 14일자 Defense News 기사로, 인도가 지난 11월 16일에 러시아제 항공모함인 고르쉬코프
제독 (Admiral Gorshkov)함을 개수한 INS 비크라마디티야 (INS Vikramaditya)함을 정식으로 인도받
았다는 소식입니다. (기사는 16일 이전에 나와서 "예정된다"고 했지만, 해당 날짜에 이루어졌다네요.)

© Shiv Aroor

INS 비크라마디티야함의 인도는 A.K. 안토니 (A.K. Antony) 인도 국방장관이 4일간의 일정으로 러시
아를 방문하는 동안 이루어졌다고 합니다. 세브마쉬 (Sevmash)에서 열린 공식 인도행사에는 드미트
리 로고진 (Dmitry Rogozin) 러시아 부총리도 참석했다고 하네요.

그리고 항모의 인도에 대한 서류에는 러시아의 국영 방산수출기업인 로소보론엑스포르트 (Rosobo-
ronexport)사의 부회장인 이고르 세바스티야노프 (Igor Sevastyanov)와 INS 비크라마디티야함의 함
장인 수라즈 베리 (Suraj Berry)가 각각 정식으로 서명했다고 합니다.

© Shiv Aroor

인도 해군은 원래 계약보다 미화 17억5천만 달러를 더 지불해야만 했고, 2008년으로 예정되었던 인
도 기간보다 거의 5년을 더 기다려야만 했습니다. INS 비크라마디티야함은 오는 11월 30일에 러시아
를 떠나서 내년 (2014년) 1월 초에 인도에 도착할 예정이라고 한 인도 해군 소식통이 밝혔습니다.

세브마쉬 조선소에서 개수된 INS 비크라마디티야함은 러시아제 함재기인 RSK MiG-29K 기종을 운
용할 예정으로, 인도 해군은 이미 이 항모에 탑재될 기체들을 보유 중입니다. INS 비크라마디티야함
은 함재기의 단거리 이륙과 회수가 가능하도록 개수되었습니다.

© Shiv Aroor

INS 비크라마디티야함은 MiG-29K 전투기 21대, 카모프 (Kamov) KA-32 대잠헬기 및 Ka-31T 조기
경보헬기 13대를 포함한 총 34대의 함재기를 운용할 거라고 합니다. 원래 이 항모는 2005년에 공짜
로 내놓은 거지만, 인도 해군에서 개수를 위한 비용을 지불하고 MiG-29K 전투기도 사야만 했다네요.

그러나 세브마쉬 조선소는 이 계약을 철회하고 개수 비용을 다시 계산했다고 밝혔었습니다. 한동안
양측 사이의 줄다리기가 이어지다가 결국 2010년에 새로운 계약이 체결되었죠. 그 결과 항모의 개수
비용은 미화 23억3천만 달러로, MiG-29K 전투기 45대를 위해 20억 달러가 추가로 들어갔습니다.

© Shiv Aroor

지난 11월 14일, 인도 국방부는 보도자료에서 안토니 국방장관이 15일에 인도 뉴델리 (New Delhi)
를 떠나서 4일간의 일정으로 러시아를 방문한다고 밝혔습니다. INS 비크라마디티야함을 인도받고,
제13차 인-러 기술협력을 위한 정부간 위원회에 참석하는 일정이 포함되어 있다고 합니다.

인도-러시아 기술협력을 위한 정부간 위원회 (India–Russia Inter-Governmental Commission on
Military Technical Cooperation, 이하 IRIGC-MTC)는 인도-러시아의 국방장관이 공동의장을 맡는
데, 이번 13번째 회의는 오는 11월 18일에 모스크바에서 이루어진다고 합니다.

© Shiv Aroor

인도 해군은 현재 운용한 지 50년이 된 항모인 INS 비라트 (INS Viraat)를 운용 중인데, 이 항모는 오
는 2017년까지 그 운용기간이 연장된 상태입니다. 인도 해군이 2017년에 자체적으로 개발하는 항모
를 취역시킬 예정이기 때문인데, 과연 그 일정이 지켜질 수 있을 지는 지켜봐야할 것 같습니다. ㅎㅎ

아무튼 기사 내용은 여기까지입니다. 드디어!!! 인도 해군이 INS 비크라마디티야함을 인도받았습니
다. 앞으로 이 항모가 운용되면서 과연 세브마쉬 조선소에서 제대로 개수를 했는 지, 그리고 인도 해
군에서 잘 운용할 수 있을 지를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 Shiv Aroor

여기 올린 사진들은 인도의 군사전문 기자인 시브 아루르 (Shiv Aroor)가 이번 인도 행사에 앞서 러
시아를 방문해서 INS 비크라마디티야함을 찍은 사진들입니다. 흥미로운 사진들이 많아서 이번 포스
팅에는 사진을 좀 많이 올렸습니다. (^^)

사진 출처 - Livefist 블로그 (링크)

덧글

  • 토나이투 2013/11/17 15:19 #

    중국 견제용인가요...인도도 항모를 보우하니 이젠 자기들도 항모있다고 뻐기지는 못하겠군요





    그리고 최종승자는 양측 모두에 자국 물건을 판 러시아 ㅇㅇ
  • dunkbear 2013/11/17 15:32 #

    인도가 관리하는 해역도 만만치 않죠. 굳이 중국 아니더라도 항모가 필요는 할 겁니다.

    물론 말씀대로 최종 승자는 러시아지만요. ㅋㅋㅋ
  • 제너럴마스터 2013/11/17 15:40 #

    인도 항모 보유한건 꽤 오래됐습니다. 독립하자 마자 영국이 준 구형 항모(비크란트)를 보유했는데 동파키스탄(현 방글라데시) 독립 전쟁할때 인도해군이 이걸로 파키스탄군 기습 공격하고 방글라데시 독립 시키는데 성공했습니다. 덕분에 인도는 2차대전 이후 아시아에서 유일하게 항모를 이용한 적지타격 노하우를 가지게 되었고 그게 지금까지 이어져 내려오고 있죠.

    그리고 중국 랴오닝함은 정확히는 우크라이나 정부에서 산겁니다. 소련 붕괴이후 바랴그는 우크라이나로 소유권이 넘어갔거든요. 러시아는 오히려 라이선스 문제때문에 중국에 Su-33도 안팔려고 했을정도로 중국에 비 호의적이니까요.
  • dunkbear 2013/11/17 15:41 #

    제너럴마스터님 // 비크란트가 동파키스탄 독립전쟁에서 활약한 일은 몰랐습니다. 한가닥 했던 항모였네요. (^^)
  • 자유로운 2013/11/17 15:49 #

    인도야 아시아권 전체에서 봤을 때도 항모 운용 역사가 가장 길지요. 파키스탄 & 중국 견제 아닐까요?
  • dunkbear 2013/11/17 15:53 #

    자유로운님 // 중국 견제는 당연하겠는데... 파키스탄은 솔직히 모르겠습니다. 파키스탄은 카라치
    말고는 이렇다 할 항구도 없어서 불리한 입장이죠. 과거에 인도 해군의 구소련제 고속정에 박살난
    적도 있고 해서... 물론 파키스탄도 당연히 저런 항모는 견제할 것이겠지만요.
  • 자유로운 2013/11/17 16:28 #

    파키스탄은 이러니 저러니 해도 여전히 인도의 최대 주적이니까요.
  • dunkbear 2013/11/17 16:35 #

    자유로운님 // 물론입니다. (^^)
  • 지나가는 저격수 2013/11/17 15:25 #

    이제 보드카 냄새대신 카레 냄새가 진동하는 항모가 나올지도..
  • dunkbear 2013/11/17 15:33 #

    이미 카레 냄새가 진동 중인 것 같습니다. ㅎㅎㅎ

    http://1.bp.blogspot.com/-KqXP5UPxPrs/UoZeiyWzntI/AAAAAAAAVRA/hOaDi2mLrf4/s1600/MVV08.JPG
  • 위장효과 2013/11/18 18:11 #

    한국에 방문한 인도 해군 함정옆을 가면 배수구로 카레냄새나는 뭔가가 마구 배출된다죠.
  • dunkbear 2013/11/19 09:06 #

    위장효과님 // 레알????!!!!!
  • 위장효과 2013/11/19 17:27 #

    P모지에서 여러번 취재할 때마다 올라온 야그입니다^^.
  • 제너럴마스터 2013/11/17 15:41 #

    이제 국산 항모인 비크란트만 정식 취역되면 비라트가 진짜로 쉴 수 있겠네요. 비라트는 포클랜드 전쟁때도 굴렸던 함인지라 이제는 좀 쉬어야 하는데 말이죠.
  • dunkbear 2013/11/17 15:42 #

    근데 일반적인 인도의 방산개발 기간을 생각하면 과연 비라트가 제때 쉴 수 있을 지 걱정입니다. (ㅜ.ㅜ)
  • StarSeeker 2013/11/17 15:41 #

    쟤들 그냥 항모 하나 새로 만드는게 더 싸고 더 빨리 받을 느낌이긴한데....

    그래도 항모는 항모죠
  • 제너럴마스터 2013/11/17 15:42 #

    http://en.wikipedia.org/wiki/Vikrant-class_aircraft_carrier

    얘들도 국산 항모 만들고 있는데 국방예산의 비효율적 사용과 인도 조선소의 딸리는 기술력 때문에 지지부진 하답니다.(누가 아준의 나라 아니랄까봐) 그래도 함체는 이미 진수했죠.
  • dunkbear 2013/11/17 15:44 #

    StarSeeker님 // 아니면 서방 국가로부터 비싸더라도 하나 사는 게 나았을 지 모르겠습니다.

    제너럴마스터님 // 인도 해군의 진짜 걱정은 자국산 항모를 굴리기 시작한 다음이 아닐까 싶기도...
  • StarSeeker 2013/11/17 15:45 #

    저것도 저 모양 이군요

    허긴 구축함도 40년 전에 모델을 베이스로 계속 개량해서 건조 하는데 그것도 10년씩 걸리는걸보면 뭔가 근본적인 문제가 있는것 같네요
  • dunkbear 2013/11/17 15:49 #

    StarSeeker님 // 아니면 러시아 조선소의 기술력에 근본적인 문제가 있거나겠죠.
  • StarSeeker 2013/11/17 15:55 #

    지금 신형이라고 만드는 방공구축함의 근본은 탈와르급이고 이 탈와르급 건조하는데 10년 넘게 걸렸고 그 탈와르급의 근본은 또 크리박급인지라...
  • dunkbear 2013/11/17 16:35 #

    StarSeeker님 // 몇번을 울궈먹는 사골국 같네요. 헐헐...
  • StarSeeker 2013/11/17 16:52 #

    아 말을 잘못했네요.

    신형 방공함 콜카타급은 델리급을 기반으로 햤고 델리급은 카신급의 확대 개량형이라는군요...

    뭐 결과물은 이것도 10년 넘게 걸렸고 카신은 크리박보다 더 오래된 고철(...)
  • 아무것도없어서죄송 2013/11/17 15:45 #

    본문중에 항모가 공짜였다는 말이 있는데 이게 무슨 소리인가요? 이거 정말입니까?
    정치적 이유였나요?
  • StarSeeker 2013/11/17 15:47 #

    전투기 러시아꺼 사면 항모+개장까지 공짜

    미끼 상품이죠

    마치 홈쇼핑에서 폰 파는데 사은품으로 티비 주는꼴이죠

    근데 알고보니 그것도 공짜가 아니니!
  • 제너럴마스터 2013/11/17 15:47 #

    항모 '선체'만 공짜고 개조비용은 인도가 다 냈습니다.

    근데 키예프급 자체를 뜯어고치고 새 레이더랑 전자장비 박고 함재기까지 새로 산지라 배보다 배꼽이 컸죠.(덕분에 러시아는 돈벌고)
  • StarSeeker 2013/11/17 15:49 #

    개장은 비용 지불인가보군요;;;
  • dunkbear 2013/11/17 15:51 #

    제너럴마스터님 말씀대로 선체'만' 공짜였습니다. 어차피 그냥 놔둬도 유지에 돈이 드니
    러시아 입장에서는 그냥 고철로 파는 게 더 이득이었는데, 인도 해군에서 덥석 문 것이죠.

    그 다음에 일어난 지옥이야, 뭐... 다들 아실테고... ㅋ
  • 아이지스 2013/11/17 17:15 #

    참 오래 걸렸네요. 덕분에 한동안 베이퍼웨어 소리도 들었는데 이제 어떻게 운용할지 기대됩니다
  • dunkbear 2013/11/19 09:06 #

    그래도 인도는 항모운용 경험이 꽤 있으니 기대해도 될 것 같습니다. ㅎㅎ
  • KittyHawk 2013/11/17 17:22 #

    생각해보면 인도 정도의 자금력이었다면 프랑스가 드골 2척 건조 여부로 고민할 때 딜을 해볼만 했지 않을까 싶어집니다.
  • 닭둘기야밥먹자 2013/11/17 21:59 #

    기억에 의존하는거라 확실치는 않지만 아마 다음과 같은 이유로 안되었던 걸로 압니다

    1. 드 골급이 원자력 추진이라 팔기 어려웠다
    2. 라팔 함재형이 개발 되지 않아 드 골급 항모에선 슈페르 에탕다르랑 A-4만 운용가능했다. 당시 이 두 기종 모두 생산하고 있지 않아 인도가 구매 불가했다
  • dunkbear 2013/11/19 09:07 #

    일단 프랑스였다면 바가지부터 씌웠을.... (응?)
  • shyni 2013/11/17 17:34 #

    러시아에 낚인 인도가 드디어 항모소환에 성공했군요..
  • dunkbear 2013/11/19 09:07 #

    그렇습니다. 소환하는 데 이렇게 오래 걸릴 줄은... ㅎㄷㄷㄷ;;;
  • 존다리안 2013/11/17 18:26 #

    왠지 Mig-29K가 주력인 걸 보니 뭔가 찜찜해 봅니다. 중국해군 랴오닝함의 Su-30 계열 상대하기에는 좀 버거울 것 같기도 하고....
  • dunkbear 2013/11/19 09:08 #

    근데 인도의 그 결정 덕분에 오히려 러시아 해군도
    MiG-29K를 밀고 있으니 미그에게는 전화위복이랄까요. 헐헐...
  • 설봉 2013/11/17 18:32 #

    인도 정도의 국방예산으로도 항공모함을 효과적으로 굴릴 수 있는 건가요?

    http://blog.daum.net/junilife/14721993

    한국의 2배도 안 되는데...
  • dunkbear 2013/11/19 09:09 #

    잘은 모르지만 중국처럼 인도도 공식과 비공식 예산이 따로 있는 것 아닌가 생각되네요.

    아니면 36개월 노예약정(?)의 연 X.XX 퍼센트 이자 할부로 갚고 있는 것이거나요. ㅋㅋㅋ
  • 시크라멘트 2013/11/17 18:54 #

    우와 항모다 항모
    우리나란 지역적으로나 금전적으로나 좀 손해인거 같지만
    왠지 배가 아프네요
    끌.
  • dunkbear 2013/11/19 09:09 #

    이해합니다. 우리에겐 필요없는 데 괜히 배 아픈... ㅎㅎ
  • 가릉빈가 2013/11/17 20:21 #

    핵추진이 아닌 이상에야 유지비가 감당이 불감당일텐데....
  • dunkbear 2013/11/19 09:09 #

    그래도 필요하니까 도입한 것이겠죠.
  • 누군가의친구 2013/11/17 20:56 #

    본격 항모 깍던 노인.txt
  • dunkbear 2013/11/19 09:10 #

    본격 슴가캐 갈아치우는 누친.txt
  • deokbusin 2013/11/17 21:42 #

    정말 길었던 개장이 이제사 끝나고 주문자에게 인도되는 군요.

    거의 8년을 잡아먹은 사업인데, 개장이 새로 연구하고 건조하는 것과 맞먹는 시간이 걸릴 줄은 생각도 못했습니다. 우리에게도 타산지석이 될 사업일 듯 싶습니다.
  • dunkbear 2013/11/19 09:10 #

    동감입니다. 제발 러시아제에 대한 환상도 좀 없어졌으면 하구요. (ㅠ.ㅠ)
  • 최강로봇 도라에몽 2013/11/17 23:25 #

    인도야 자신들만의 항모교리가 있을정도로 러시아 제외하면 아시아쪽에서는 항모를 가장 잘 다루지 않을까란 생각이 드는 나라죠, 드디어 오다니.... 길고 길었네요
  • dunkbear 2013/11/19 09:11 #

    오히려 본격적인 항모라면 러시아보다도 더 노하우가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마저 듭니다.
    인도 항모는 위에서 언급된 것처럼 실전 경험도 있으니 말입니다.
  • BigTrain 2013/11/18 11:18 #

    이 녀석도 지구 멸망의 봉인 급이었는데 드디어 해제됐네요.

    러시아 친구와는 거래하는 게 아니라는 걸 느끼게 만들어준 녀석이었는데..
  • dunkbear 2013/11/19 09:11 #

    - 지구는 무사했습니다!!! (어이)

    - 그래도 인도 같은 몇몇 나라에게는 러시아만한 나라도 없는지라.. (ㅠ.ㅠ)
  • 위장효과 2013/11/18 18:19 #

    "야, 다음번에는 미국에서 항모 구입해!!!!"-만모한 싱 총리 (퍽!!!!)

    인도 해군의 저 해군기...왕년의 종주국 그것을 본땄군요. (딱 성 조지 기에다가 유니언 잭 대신 인도 국기 달았...)
  • dunkbear 2013/11/19 09:12 #

    - 이미 자체 개발 중이라는 건 함정이죠. ㅋㅋㅋ

    - 어떤 전통은 꽤 오래가는 법이더군요. (^^)
  • 역성혁명 2013/11/19 12:17 #

    우와 물에 떠다니는 스키점프대다! 겨울에 우리나라로 오라고해서 스키점프하자고 초청해요~ (아시아 주변 국가들의 항모보유가 증가함에 맨붕 중....)
  • dunkbear 2013/11/20 14:20 #

    멘붕하지 마세요... ㅎㅎㅎ
※ 로그인 사용자만 덧글을 남길 수 있습니다.



호무호무한 검색

Loading

통계 위젯 (화이트)

435
314
5042513

2011 이글루스 TOP 100

2010 이글루스 TOP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