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use block


소형 코르벳함 도입에 관심을 갖고 있는 UAE 군사와 컴퓨터

Smaller Naval Programs Garner Great Attention (기사 링크)

Defense News 기사로, 아랍 에미리트연합 (United Arab Emirates, 이하 UAE)이 선체 길이 60 미터
-85 미터 사이의 소형 코르벳 (corvette)급의 전투함을 도입하는 데 관심을 갖고 있다는 소식입니다.
몇몇 조선소들이 최근 UAE 정부로부터 제안서를 받아 최소한 3개 업체가 이에 응했다고 하네요.


ⓒ SELEX Sistemi Integrati SpA

미 해군의 프리덤 (Freedom)급 연안전투함 (Littoral Combat Ship, 이하 LCS)의 주 사업자인 록히
드 마틴 (Lockheed Martin)은 116 미터 길이의 LCS를 축소한 모델을 제시했는데, 소식통들에 따르
면 소형 LCS는 선수의 해상임무구획을 유지하면서 모듈러 (modular) 설계 일부도 남겼다고 하네요.

이전까지 록히드 마틴은 기본적인 LCS 설계를 유지하면서 더 많은 무장과 시스템을 갖춘 - 이지스
(Aegis) 전투시스템을 갖춘 "인터내셔널 LCS (International LCS)"를 포함한 - 방식을 제안했었습니
다. 고로 UAE에 제안한 설계가 처음으로 고객의 요구에 부응해서 LCS를 축소한 사례로 보입니다.

호주 업체인 오스탈 (Austal)사는 80 미터 길이의 다목적함 또는 MRV (Multi-Role Vessel)을 제안하
고 있다고 합니다. MRV는 이 회사가 건조하는 상업용 연락선 (ferry)과 유사한 알루미늄 재질의 삼
동선 (trimaran)과 유사하다고 하네요.


ⓒ unknown

그리고 오스탈의 미국 계열사인 오스탈 USA (Austal USA)가 주 사업자로 건조 중인 미 해군의 인
디펜던스 (Independance)급 LCS도 UAE에 제안되고 있답니다. MRV는 128 미터 길이의 인디펜던
스급 LCS보다는 소형이지만, 함대공 미사일을 포함해서 더 강한 무장을 갖추고 있다고 하네요.

MRV는 또한 소형 보트나 차량을 발진 및 회수할 수 있는 램프 (ramp), 임무 구역 그리고 시코르스
키 (Sikorsky)사의 UH-60 헬기를 수용할 수 있는 격납고도 갖추고 있다고 합니다. 엔진 3개를 장
착한 MRV는 최대 속도 36 노트까지 가능하다고 합니다.

그 외에도 MRV는 호주의 CEA 테크놀로지스 (CEA Technologies)사에서 제공하는 센서 패키지도
장착할 수 있다고 합니다. CEA 테크놀로지스는 호주 해군의 안작 (Anzac)급 호위함에 대공 미사
일 방어 업그레이드 사업을 맡기도 했었죠.


ⓒ 2012 Austal

하지만 UAE의 소형 코르벳함 도입 사업에서 가장 강력한 경쟁자는 바로 이탈리아의 핀칸티에리
(Fincantieri)일 거라고 합니다. 핀칸티에리는 이미 정교한 89 미터 길이의 대형 코르벳함인 아부
다비 (Abu Dhabi)함에 시스템을 장착 중이라고 합니다.

게다가 UAE 해군에 들어갈 56 미터 길이의 파라즈 2 (Falaj 2) 초계함 1-2번함을 건조 중에 있죠.
또한 핀칸티에리는 2010년에 UAE에 새로운 조선소를 건설하는 계약도 체결했었습니다.

알 타윌라 (Al Taweelah)의 알사드르 항 (Alsadr Port)에 위치할 예정인 에티아드 조선소 (Etihad
Ship Building)는 초기에는 수리 시설을 제공할 것이지만, 나중에는 핀칸티에리사와 UAE 사이의
기술 이전의 일환으로 함정 건조시설로 전환할 것이라고 합니다.


ⓒ 2012 Austal

지난 10월 22일부터 26일까지 프랑스의 파리에서 열리는 Euronaval (프랑스 해군 박람회) 행사
의 소식통들에 따르면, UAE는 오는 11월 말까지 소형 코르벳함 모델을 제안한 업체들로부터 최
종 제안을 받고, 내년 (2013년) 2월에 기종을 결정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기사 내용은 여기까지입니다. UAE 해군은 지리적 위치 때문인지는 몰라도 중소형 전투함 전력
을 촘촘하게 구성하는 방식을 취하는 것 같습니다. 이번에 도입하려는 소형 코르베함은 대형 코
르벳인 아부다비급과 초계함인 파라즈 2급 사이에 딱 들어맞기 때문이죠.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해군 전투함을 도입하는 것은 역시 바다 건너 이웃인 이란의 군사력, 특히
해군 전력을 견제하려는 목적일 것입니다. 어느 업체가 선정될 지는 모르지만, 예전부터 UAE에
투자해온 이탈리아의 핀칸티에리사가 이번 사업에서도 유력한 후보가 아닐까 싶습니다.


ⓒ Lockheed Martin

여기 올린 사진 중 첫번째는 UAE 해군의 바이누나 (Baynunah)급 코르벳함이고, 두번째는 파라
즈 2급 초계함, 세번째와 네번째는 오스탈사에서 제시하는 MRV의 일러스트입니다. 다섯번째는
록히드 마틴이 제시하고 있는 "인터내셔널 LCS"의 일러스트입니다.


사진 출처 - 구글 검색 (링크)



핑백

  • 식빵스러움의 Blog. : 록히드마틴 프리덤급(LCS-1)기반의 다목적전투함 CG공개. 2012-10-26 14:51:29 #

    ... 설 것을 보이는데, 그 첫 대상은 아무래도 dunkbear님이 소개하신 UAE의 소형코르벳 획득사업이 되지 않을까 싶네요.(dunkbear의 블로그-소형코르벳함 도입에 관심을 갖고 있는 UAE) 그런데 모듈화 장비를 제외한 LCS 기본사양의 가격도 상당한 수준인데, 이보다 더욱 호사스러운(?) 센서와 무장을 탑재한 수출형의 ... more

덧글

  • 알루미나 2012/10/26 10:37 #

    여기보면 충실하게 채운다는 느낌이 드네요....
  • dunkbear 2012/10/26 19:53 #

    이란을 마주보고 있는 나라다운 해군 전력을 키우는 모습입니다.
  • 무르쉬드 2012/10/26 11:58 #

    크기만 작지.. 가격은 무척이나 비쌀듯.. 중동이니.. 제시 가능한 모델이겠네요.
  • dunkbear 2012/10/26 19:53 #

    그렇겠죠. 오일머니의 위력 아니겠습니까. ㅎㅎㅎ
  • 검은하늘 2012/10/26 12:00 #

    MRV?! 아니 함포가 없다니? 군함의 상징인 함포가 없다니? 이게 무슨 짓이요?
  • dunkbear 2012/10/26 19:55 #

    저거 함포가 아래로 내려가 있는 것일 겁니다. 방산전시회에 나온 모형에는
    함포가 있었습니다.

    http://www.jutarnji.hr/multimedia/archive/00382/josipovic_sajam6_382716S0.jpg
  • 검은하늘 2012/10/26 23:09 #

    그럼 MRV가 좋을 거 같네요. 왠지 록마보다 쌀 거 같지만요.
  • dunkbear 2012/10/26 23:23 #

    훗, 확실히 록마는 비쌀 것 같죠. ㅋㅋㅋ
  • Ladcin 2012/10/26 12:23 #

    오오 중동색.패기 오오

    아무래도 미사일 고속정 견제용일려나요?
  • dunkbear 2012/10/26 19:57 #

    기본적인 해군 전투함선들의 구축으로 보입니다. 다목적이니 여러가지
    임무에 동원되겠죠. 미사일 고속정은 따로 배치 및 도입 중인 걸로 압니다.
  • dudwns256 2012/10/26 12:32 #

    코르벳 사진을 보니 상당이 스텔스 설계가 적용된듯 하네요. 스텔스 특유의 미학이 있네요.
  • dunkbear 2012/10/26 19:57 #

    바이누나급을 보면 아부다비급의 형상을 어느 정도 짐작할 수 있다고 봅니다.
  • 위장효과 2012/10/26 12:41 #

    저런 거 만드는데는 영국 회사들도 제법 많이 뛰었는데 이번 건에서는 어째 조용하네요.
  • dunkbear 2012/10/26 19:58 #

    UAE에 이탈리아가 투자를 많이 하는 등 터를 잘 닦아놓아서 말이죠...
  • Ithilien 2012/10/26 13:48 #

    가격은 진짜 임프레시브 할듯한데 말이지요?
  • dunkbear 2012/10/26 19:58 #

    뭐, 턱이 떨어질 정도는 아니겠지만 만만한 가격은 아닐 겁니다.
  • 폴라리스 2012/10/26 13:51 #

    잘 만든 플랫폼 열 신규 플랫폼 안부럽다.....- 공익 방산 협의회 (한국 업체들 보고 있나?)
  • dunkbear 2012/10/26 19:58 #

    두산인프라코어에 해주고 싶은 말입니다... (ㅡ.ㅡ++)
  • 식빵스러움 2012/10/26 14:32 #

    몇일 전에 록히드마틴이 LCS기반의 새로운 수출용 다목적전투함(MMC)의 CG공개는 UAE를 노리고 그런 것인가....
  • dunkbear 2012/10/26 19:59 #

    식빵스러움님의 글 잘 읽었습니다. 확실히 UAE를 주요 고객으로 점찍은 것 같더군요.
  • 지나가는 저격수 2012/10/26 16:00 #

    확실히 함포도 내부수납형으로 바뀌고,

    스텔스 성을 고려한 디자인들로 바뀌고 있군요.

    함선들이.

    그래도 역시 위압은 함포를 줄줄이 거느리고 있는 전함이 최고라능.
  • dunkbear 2012/10/26 19:59 #

    전함의 시대는 정말 로망이었죠. 사람들은 많이 죽었지만서도...
  • ttttt 2012/10/26 16:17 #

    아직도 전열함 전투를 상정하고 지을 수밖에 없는 어느 나라는 눈물만..ㅠ.ㅠ
    그러고 보면, 필리핀에 조선소를 지을 바에야 중동 산유국에 짓는 게 나을 것 같은데 말입니다. 여러 가지로..
  • dunkbear 2012/10/26 20:00 #

    - 어흑... (ㅠ.ㅠ)

    - 한진의 수빅만 조선소 말씀이시군요... 말들 많던데... 쩝.
  • 폴라리스 2012/10/26 22:06 #

    어쩔수 없는 선택이었죠.....저가 수주를 노리기 위해선 저임금 국가로 향할수밖에 없었으니...
  • 셔먼 2012/10/26 17:01 #

    UAE는 요즘 대형함보다는 코르벳이나 프리깃 쪽에 관심을 많이 가지는 듯 합니다.
  • ttttt 2012/10/26 17:45 #

    작고, 대형함이 필요한 나라가 아니죠. 우리 연안함대가 북한해군보듯 이란해군을 봐야 하니..
  • dunkbear 2012/10/26 20:00 #

    ttttt님 말씀대로입니다. 지척에 이란 해군이 껄쩍대고 있는 나라라서... ㅎㅎㅎ
  • 2012/10/26 17:55 # 비공개

    비공개 덧글입니다.
  • 2012/10/26 20:01 # 비공개

    비공개 답글입니다.
  • 가릉빈가 2012/10/26 19:22 #

    돈있으면 FREMM...
  • dunkbear 2012/10/26 20:01 #

    얼마 전에 프랑스 해군의 FREMM 2번함이 진수되었다더군요. 흠.
  • 누군가의친구 2012/10/27 01:15 #

    제시된 모델들이 스텔스 하군요.ㄲㄲ
  • dunkbear 2012/10/28 20:30 #

    그렇습니다. 요즘 스텔스는 대세죠. ㅎㅎㅎ
  • 메이즈 2012/10/27 09:58 #

    이란 문제가 심상치 않으니 UAE도 뭔가 대책 마련의 필요성을 생각한 것 같습니다. 물론 이란이 정말 대형 사고를 치면 그걸로 이란은 끝장나겠지만(정권에 대한 충성심이 존재하는데다 경제력도 그럭저럭 괜찮은 편이니 북한보다는 좀 더 오래 버틸지도) 어떤 결말이 나건 UAE에게 영향을 줄 것은 분명하니까요.
  • ttttt 2012/10/27 21:01 #

    이란이 사고를치면.. 중동의 무기고 사우디가 열리겠군요. F-15, 타이푼, M1, 아파치..
  • dunkbear 2012/10/28 20:31 #

    메이즈님 // 예전부터 이란의 움직임을 눈여겨 보고 있었을테니까요... 사우디도 그렇고...

    ttttt님 // 화려한 라인업이죠. ㅎㄷㄷㄷ;;; UAE의 데저트 팰콘도 있고... (^^)
※ 로그인 사용자만 덧글을 남길 수 있습니다.



호무호무한 검색

Loading

통계 위젯 (화이트)

535
314
5042514

2011 이글루스 TOP 100

2010 이글루스 TOP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