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aller Naval Programs Garner Great Attention (기사 링크)
Defense News 기사로, 아랍 에미리트연합 (United Arab Emirates, 이하 UAE)이 선체 길이 60 미터
-85 미터 사이의 소형 코르벳 (corvette)급의 전투함을 도입하는 데 관심을 갖고 있다는 소식입니다.
몇몇 조선소들이 최근 UAE 정부로부터 제안서를 받아 최소한 3개 업체가 이에 응했다고 하네요.

ⓒ SELEX Sistemi Integrati SpA
미 해군의 프리덤 (Freedom)급 연안전투함 (Littoral Combat Ship, 이하 LCS)의 주 사업자인 록히
드 마틴 (Lockheed Martin)은 116 미터 길이의 LCS를 축소한 모델을 제시했는데, 소식통들에 따르
면 소형 LCS는 선수의 해상임무구획을 유지하면서 모듈러 (modular) 설계 일부도 남겼다고 하네요.
이전까지 록히드 마틴은 기본적인 LCS 설계를 유지하면서 더 많은 무장과 시스템을 갖춘 - 이지스
(Aegis) 전투시스템을 갖춘 "인터내셔널 LCS (International LCS)"를 포함한 - 방식을 제안했었습니
다. 고로 UAE에 제안한 설계가 처음으로 고객의 요구에 부응해서 LCS를 축소한 사례로 보입니다.
호주 업체인 오스탈 (Austal)사는 80 미터 길이의 다목적함 또는 MRV (Multi-Role Vessel)을 제안하
고 있다고 합니다. MRV는 이 회사가 건조하는 상업용 연락선 (ferry)과 유사한 알루미늄 재질의 삼
동선 (trimaran)과 유사하다고 하네요.

ⓒ unknown
그리고 오스탈의 미국 계열사인 오스탈 USA (Austal USA)가 주 사업자로 건조 중인 미 해군의 인
디펜던스 (Independance)급 LCS도 UAE에 제안되고 있답니다. MRV는 128 미터 길이의 인디펜던
스급 LCS보다는 소형이지만, 함대공 미사일을 포함해서 더 강한 무장을 갖추고 있다고 하네요.
MRV는 또한 소형 보트나 차량을 발진 및 회수할 수 있는 램프 (ramp), 임무 구역 그리고 시코르스
키 (Sikorsky)사의 UH-60 헬기를 수용할 수 있는 격납고도 갖추고 있다고 합니다. 엔진 3개를 장
착한 MRV는 최대 속도 36 노트까지 가능하다고 합니다.
그 외에도 MRV는 호주의 CEA 테크놀로지스 (CEA Technologies)사에서 제공하는 센서 패키지도
장착할 수 있다고 합니다. CEA 테크놀로지스는 호주 해군의 안작 (Anzac)급 호위함에 대공 미사
일 방어 업그레이드 사업을 맡기도 했었죠.

ⓒ 2012 Austal
하지만 UAE의 소형 코르벳함 도입 사업에서 가장 강력한 경쟁자는 바로 이탈리아의 핀칸티에리
(Fincantieri)일 거라고 합니다. 핀칸티에리는 이미 정교한 89 미터 길이의 대형 코르벳함인 아부
다비 (Abu Dhabi)함에 시스템을 장착 중이라고 합니다.
게다가 UAE 해군에 들어갈 56 미터 길이의 파라즈 2 (Falaj 2) 초계함 1-2번함을 건조 중에 있죠.
또한 핀칸티에리는 2010년에 UAE에 새로운 조선소를 건설하는 계약도 체결했었습니다.
알 타윌라 (Al Taweelah)의 알사드르 항 (Alsadr Port)에 위치할 예정인 에티아드 조선소 (Etihad
Ship Building)는 초기에는 수리 시설을 제공할 것이지만, 나중에는 핀칸티에리사와 UAE 사이의
기술 이전의 일환으로 함정 건조시설로 전환할 것이라고 합니다.

ⓒ 2012 Austal
지난 10월 22일부터 26일까지 프랑스의 파리에서 열리는 Euronaval (프랑스 해군 박람회) 행사
의 소식통들에 따르면, UAE는 오는 11월 말까지 소형 코르벳함 모델을 제안한 업체들로부터 최
종 제안을 받고, 내년 (2013년) 2월에 기종을 결정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기사 내용은 여기까지입니다. UAE 해군은 지리적 위치 때문인지는 몰라도 중소형 전투함 전력
을 촘촘하게 구성하는 방식을 취하는 것 같습니다. 이번에 도입하려는 소형 코르베함은 대형 코
르벳인 아부다비급과 초계함인 파라즈 2급 사이에 딱 들어맞기 때문이죠.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해군 전투함을 도입하는 것은 역시 바다 건너 이웃인 이란의 군사력, 특히
해군 전력을 견제하려는 목적일 것입니다. 어느 업체가 선정될 지는 모르지만, 예전부터 UAE에
투자해온 이탈리아의 핀칸티에리사가 이번 사업에서도 유력한 후보가 아닐까 싶습니다.

ⓒ Lockheed Martin
여기 올린 사진 중 첫번째는 UAE 해군의 바이누나 (Baynunah)급 코르벳함이고, 두번째는 파라
즈 2급 초계함, 세번째와 네번째는 오스탈사에서 제시하는 MRV의 일러스트입니다. 다섯번째는
록히드 마틴이 제시하고 있는 "인터내셔널 LCS"의 일러스트입니다.
사진 출처 - 구글 검색 (링크)
Defense News 기사로, 아랍 에미리트연합 (United Arab Emirates, 이하 UAE)이 선체 길이 60 미터
-85 미터 사이의 소형 코르벳 (corvette)급의 전투함을 도입하는 데 관심을 갖고 있다는 소식입니다.
몇몇 조선소들이 최근 UAE 정부로부터 제안서를 받아 최소한 3개 업체가 이에 응했다고 하네요.

ⓒ SELEX Sistemi Integrati SpA
미 해군의 프리덤 (Freedom)급 연안전투함 (Littoral Combat Ship, 이하 LCS)의 주 사업자인 록히
드 마틴 (Lockheed Martin)은 116 미터 길이의 LCS를 축소한 모델을 제시했는데, 소식통들에 따르
면 소형 LCS는 선수의 해상임무구획을 유지하면서 모듈러 (modular) 설계 일부도 남겼다고 하네요.
이전까지 록히드 마틴은 기본적인 LCS 설계를 유지하면서 더 많은 무장과 시스템을 갖춘 - 이지스
(Aegis) 전투시스템을 갖춘 "인터내셔널 LCS (International LCS)"를 포함한 - 방식을 제안했었습니
다. 고로 UAE에 제안한 설계가 처음으로 고객의 요구에 부응해서 LCS를 축소한 사례로 보입니다.
호주 업체인 오스탈 (Austal)사는 80 미터 길이의 다목적함 또는 MRV (Multi-Role Vessel)을 제안하
고 있다고 합니다. MRV는 이 회사가 건조하는 상업용 연락선 (ferry)과 유사한 알루미늄 재질의 삼
동선 (trimaran)과 유사하다고 하네요.

ⓒ unknown
그리고 오스탈의 미국 계열사인 오스탈 USA (Austal USA)가 주 사업자로 건조 중인 미 해군의 인
디펜던스 (Independance)급 LCS도 UAE에 제안되고 있답니다. MRV는 128 미터 길이의 인디펜던
스급 LCS보다는 소형이지만, 함대공 미사일을 포함해서 더 강한 무장을 갖추고 있다고 하네요.
MRV는 또한 소형 보트나 차량을 발진 및 회수할 수 있는 램프 (ramp), 임무 구역 그리고 시코르스
키 (Sikorsky)사의 UH-60 헬기를 수용할 수 있는 격납고도 갖추고 있다고 합니다. 엔진 3개를 장
착한 MRV는 최대 속도 36 노트까지 가능하다고 합니다.
그 외에도 MRV는 호주의 CEA 테크놀로지스 (CEA Technologies)사에서 제공하는 센서 패키지도
장착할 수 있다고 합니다. CEA 테크놀로지스는 호주 해군의 안작 (Anzac)급 호위함에 대공 미사
일 방어 업그레이드 사업을 맡기도 했었죠.

ⓒ 2012 Austal
하지만 UAE의 소형 코르벳함 도입 사업에서 가장 강력한 경쟁자는 바로 이탈리아의 핀칸티에리
(Fincantieri)일 거라고 합니다. 핀칸티에리는 이미 정교한 89 미터 길이의 대형 코르벳함인 아부
다비 (Abu Dhabi)함에 시스템을 장착 중이라고 합니다.
게다가 UAE 해군에 들어갈 56 미터 길이의 파라즈 2 (Falaj 2) 초계함 1-2번함을 건조 중에 있죠.
또한 핀칸티에리는 2010년에 UAE에 새로운 조선소를 건설하는 계약도 체결했었습니다.
알 타윌라 (Al Taweelah)의 알사드르 항 (Alsadr Port)에 위치할 예정인 에티아드 조선소 (Etihad
Ship Building)는 초기에는 수리 시설을 제공할 것이지만, 나중에는 핀칸티에리사와 UAE 사이의
기술 이전의 일환으로 함정 건조시설로 전환할 것이라고 합니다.

ⓒ 2012 Austal
지난 10월 22일부터 26일까지 프랑스의 파리에서 열리는 Euronaval (프랑스 해군 박람회) 행사
의 소식통들에 따르면, UAE는 오는 11월 말까지 소형 코르벳함 모델을 제안한 업체들로부터 최
종 제안을 받고, 내년 (2013년) 2월에 기종을 결정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기사 내용은 여기까지입니다. UAE 해군은 지리적 위치 때문인지는 몰라도 중소형 전투함 전력
을 촘촘하게 구성하는 방식을 취하는 것 같습니다. 이번에 도입하려는 소형 코르베함은 대형 코
르벳인 아부다비급과 초계함인 파라즈 2급 사이에 딱 들어맞기 때문이죠.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해군 전투함을 도입하는 것은 역시 바다 건너 이웃인 이란의 군사력, 특히
해군 전력을 견제하려는 목적일 것입니다. 어느 업체가 선정될 지는 모르지만, 예전부터 UAE에
투자해온 이탈리아의 핀칸티에리사가 이번 사업에서도 유력한 후보가 아닐까 싶습니다.

ⓒ Lockheed Martin
여기 올린 사진 중 첫번째는 UAE 해군의 바이누나 (Baynunah)급 코르벳함이고, 두번째는 파라
즈 2급 초계함, 세번째와 네번째는 오스탈사에서 제시하는 MRV의 일러스트입니다. 다섯번째는
록히드 마틴이 제시하고 있는 "인터내셔널 LCS"의 일러스트입니다.
사진 출처 - 구글 검색 (링크)
덧글
함포가 있었습니다.
http://www.jutarnji.hr/multimedia/archive/00382/josipovic_sajam6_382716S0.jpg
아무래도 미사일 고속정 견제용일려나요?
임무에 동원되겠죠. 미사일 고속정은 따로 배치 및 도입 중인 걸로 압니다.
스텔스 성을 고려한 디자인들로 바뀌고 있군요.
함선들이.
그래도 역시 위압은 함포를 줄줄이 거느리고 있는 전함이 최고라능.
그러고 보면, 필리핀에 조선소를 지을 바에야 중동 산유국에 짓는 게 나을 것 같은데 말입니다. 여러 가지로..
- 한진의 수빅만 조선소 말씀이시군요... 말들 많던데... 쩝.
ttttt님 // 화려한 라인업이죠. ㅎㄷㄷㄷ;;; UAE의 데저트 팰콘도 있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