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use block


군의 구조조정에 부정적인 독일군 장교와 부사관들 군사와 컴퓨터

German Military Leaders Criticize Bundeswehr Reform (기사 링크)

Defense News 기사로, 최근 실시된 여론조사에서 독일연방군 장교와 부사관 중 46 퍼센트가 현재
진행 중인 독일연방군의 구조조정에 대해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는 소식입니다. 이 여론조사는 독
일연방군협회 (German Bundeswehr Association)의 의뢰로 이루어진 것이라고 하네요.



[지난 7월 20일, 히틀러를 암살하려다 실패하고 처형당한 이들을 추도하는 행사에서 호르스트 제호
퍼 (Horst Seehofer) 독일연방의장이 암살시도를 주도한 클라우스 그라프 폰 슈타우펜베르크(Claus
Graf von Stauffenberg) 대령이 처형당한 장소에 헌화하는 모습입니다. ⓒ Bundeswehr/Bienert]


독일연방군협회를 대신해서 쳄니츠 기술대학 (Technical University of Chemnitz)이 지난 6월 26일부
터 7월 31일까지 이 여론조사를 수행했다고 합니다. 지난 9월 7일에 베를린에서 열린 프레젠테이션
에서 로비 협회의 의장인 울리히 키르치 (Ulrich Kirsch) 대령은 즉시 행동할 필요를 봤다고 합니다.

만약 정계가 지금 (연방군의 구조조정을) 재조정하지 않는다면, 이 구조조정은 무너지기 직전에 있
을 거라고 언급하면서 말이죠. 1,768명의 장교와 부사관들이 이번 조사에 참여했는데, 그 중 27.3
퍼센트가 구조조정 계획 자체를 나쁘거나 아주 나쁘다고 (bad or very bad)라고 표현했다고 합니다.

그러나 여론조사에 참여한 이들 중 88.1 퍼센트는 연방군에 대한 구조조정 과정이 지속되지 않을 것
이며, 곧 수정이 필요할 것이라고 답했답니다. 또한, 76.2 퍼센트는 이 구조조정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서 자신만의 의견을 표현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고 밝혔다고 하네요.



[지난 7월 20일, 히틀러 암살시도 68주년을 기념하는 행사에서 토마스 드 메지에르 (Thomas de M-
aizière) 국방장관이 아내인 마르티나 (Martina)와 함께 거사에 참여했던 인물들의 사진을 둘러보는
모습입니다. 맨 오른쪽 사진이 폰 슈타우펜베르크 대령입니다. ⓒ Bundeswehr/Bienert]


독일 국방부 대변인은 전체적으로 이번 여론조사는 현재 상황에 대한 자화상과 부합하고 있다고 밝
혔습니다. 연방군 장병, 민간 인력과 그 가족들 사이에서 느껴지는 불안정함은 이번 구조조정과 함
께 오는 것이라고 대변인은 언급했습니다.

독일연방군은 현재 장병과 민간 인력의 대규모 감축, 기지 폐쇄 또는 징병제 폐지를 포함하는 구조
조정을 진행 중에 있습니다. 지난 2011년 10월, 독일연방군은 이번 개혁을 통해서 얻어지는 것이나
기대되는 것과 같은 주제를 평가는 자체적인 장기간 연구를 시작했다고 하네요.

독일 국방부 대변인은 이번 구조조정 프로젝트가 대부분 받아들여지도 있다는 점을 지적하면서도,
여론조사에 응한 장교와 부사관들 중 고작 절반만이 이번 개혁의 시행을 긍정적으로 보고 있고 심
지어 더 실행해야할 필요가 있다고 본 점은 독일 국방부를 생각하게끔 만든다고 밝혔습니다.



[지난 7월 20일, 독일 국방부 건물이기도 한 벤들러블록에서 열린 히틀러 암살시도 68주년 기념식
과 같이 열린 행사에서 독일 전역에서 모인 자원입대병 400명 중 대표자 6명이 연방군기 앞에서 충
실하게 임무를 수행할 것을 선서하는 모습입니다. ⓒ Bundeswehr/Bienert]


이번 여론조사에 따르면, 독일연방군의 임무 지향 (mission orientation)과 임무수행 능력은 향상되
고 있지만, 이는 장병들 자신들을 포함한 모든 다른 분야에서의 희생을 담보로 한 것이라고 합니다.

그러나 군수뇌부는 또한 장비를 향상시킬 필요를 느끼고 있고, 우수한 인력을 충분하게 연방군으
로 끌어들이는데 대한 어려움도 우려하고 있다고 합니다. 기사 내용은 여기까지입니다. 절반 이상
은 아니지만, 46 퍼센트의 부정적인 의견은 결코 적다고는 할 수 없어보입니다.

특히 조사 대상 중 3/4 이상이 이번 구조조정에 자신들의 목소리를 낼 수 없다고 토로한 점은 이번
군 개혁이 수뇌부에서 일방적으로 진행하고 있다는 인상마저 주고 있어서 좀 걱정스럽게도 보입니
다. 어떻게 더 많은 여론을 수렴할 수 있을 지가 연방군에게 남은 과제가 아닌가 싶네요.



[지난 7월 20일, 히틀러 암살시도 68주년 기념식과 더불어, 독일 전역에서 모인 자원병 400명이
벤들러블록에 모여서 군 수뇌부, 가족, 참관인들 앞에서 단체로 충실하게 임무를 수행할 것을 선
서하는 행사도 열렸습니다. 드 메지에르 장관과 볼커 위커 (Volker Wieker) 독일참모총장이 이들
중 몇명과 악수를 나누는 모습입니다. ⓒ Bundeswehr/Bienert]



사진 출처 - 독일연방군 Flickr 페이지 (링크)



덧글

  • 셔먼 2012/09/08 12:16 #

    어떤 나라의 군에서든 구조조정에 우호적인 장교나 부사관은 몇 없을 겁니다.
  • 애쉬 2012/09/08 12:53 #

    '하나도' 없을거란데 500원을 걸죠^^
  • dunkbear 2012/09/08 20:32 #

    자기 밥줄이 걸렸는데 누가 좋아할까요. (^^;;)
  • 위장효과 2012/09/08 12:18 #

    그냥 실직의 두려움때문에 반대한다고만 치부할 일은 아니겠죠.

    7.20 사건의 인물들 사진보니까...아무리 봐도 영화 "발퀴리"에서 올브리히트 장군 역으로 빌 나이 영감님 캐스팅한 건 미스 캐스팅^^.
  • dunkbear 2012/09/08 20:33 #

    - 46 퍼센트 정도라면 실직만 아니라 다른 요소도 작용하는 것 같습니다.

    - 여러모로 뭔가 핀트가 안맞는 영화가 아니었나 합니다. 흠.
  • 메이즈 2012/09/08 12:25 #

    요즘 같은 고용 없는 성장시대에 구조조정은 곧 장기실직을 의미하는데다 독일의 경우는 하르츠법의 도입으로 인해 1년만 실직해도 그 즉시 '생활보호대상자' 로 전락하는 게 현실이다 보니 저 사람들 입장에서는 결사 반대할 수밖에 없을 겁니다.
  • dunkbear 2012/09/08 20:34 #

    독일은 그나마 유럽 중에서는 나은 환경이라고 하지만 역시 어려움이 적지 않나 보네요.
  • 애쉬 2012/09/08 12:52 #

    현대 독일군은 저 행사를 성대해 하는군요 정치적으로 매우 현명해보입니다.

    야스쿠니 신사를 참배하는 것과 완전 반대방향이군요

    전시된 사진에 톰크루즈가 맡았던 그 배역의 장교도 있겠지요? 작전명 발키리에서...
  • dunkbear 2012/09/08 20:35 #

    - 독일연방군에 자원입대한 병사들을 전국에서 모아서 히틀러 암살 기념행사와
    연계시킨 것이 매우 이색적이지 않나 봅니다. 나름대로 상당한 의미가 있는 것이죠.

    - 두번째 사진에서 맨 오른쪽에 전시된 사진이 바로 그 장교입니다. (^^)
  • 행인1 2012/09/08 13:31 #

    여론조사 대상자 중 88.1%가 구조조정이 지속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한다라... 장관이나 정권이 바뀌면 또 바뀌겠지란 마인드인걸까요?
  • dunkbear 2012/09/08 20:37 #

    구조조정 "과정"이 지속되지 않을 것이다, 즉 어느 시점에서는 변화가 불가피할 것이다라고
    생각하는 연방군 장교와 부사관이 88 퍼센트 이상이라는 의미로 보입니다. 정권 교체보다는
    개혁 과정 자체에서 수정이 필요하게 될 것이라는 의미가 아닌가 하네요.
  • 만슈타인 2012/09/08 13:35 #

    독일의 국방개혁이 군 내부에서 저렇게 비판을 받고 있다는 점은 여러가지 점을 생각하게합니다.
  • dunkbear 2012/09/08 20:38 #

    그러게 말입니다. 과도기라면 과도기라고 할 수 있는 데 말이죠.
  • 최강로봇 도라에몽 2012/09/08 13:53 #

    군의 구조조정은 당국으로서도 많은걸 판단하게 하죠 이번에 육군도 10만명 줄인다는데 그렇다면 상당한 숫자의 장군과 사관 부사관들이 사라진다는 것인데 우리나라도 독일의 사례를 잘 살펴보면서 현명하게 대처했음 하네요
  • dunkbear 2012/09/08 20:39 #

    사실 병력 규모를 줄인다고 해도 장교와 부사관 수를 같이 줄일 수는 없을 겁니다.
    모병제가 되면 오히려 더 많은 장교와 부사관이 필요할 경우도 있고, 전면전이라는
    최악의 시나리오에서는 그런 고급인력은 더욱 중요하니까요.
  • 지나가는 저격수 2012/09/08 14:12 #

    구조조정을 하는 조직내의 사람들이 찬성할리가....
  • dunkbear 2012/09/08 20:39 #

    그건 그렇죠... (^^;;)
  • dudwns256 2012/09/08 14:16 #

    공조직이든 사조직이든 간에 구조조정을 포함한 조직개편은 어렵다는 사실이네요.
  • dunkbear 2012/09/08 20:39 #

    기득권층의 반발이 그만큼 거세니까요.
  • 긁적 2012/09/08 16:29 #

    어떤 구조조정이던지 간에, 자신이 해고대상이 되는 구조조정에 찬성할 사람은 없겠죠 -_-;;;;;

    아울러 어떤 구조조정이던지간에 조직 내 다수의 사람이 찬성하는 구조조정은 없을 것 같아요.;
  • dunkbear 2012/09/08 20:40 #

    밥그릇도 그렇지만, 변화를 원하지 않는 심리도 깔려있기 때문이 아닌가 합니다.
  • 시쉐도우 2012/09/08 20:04 #

    저 거사 참여자들을 기리는 이유는 아마도 "우리 연방군의 직계 선조인 국방군은 나치들에 부화뇌동한 것이 아니라능! SS와는 다르다능!" 이라고 말하기 위해서가 아닐까 싶네요. 실제는 별로 그렇지 않아서 나치에 동조한 군인들이 많았다는 것을 알지만요.

    그러고 보니 연금과 관련해서도 현재의 독일연방공화국은 과거 국방군에 근무했던 경우엔 연금을 지급하지만 SS에 근무한 경우에는 연금을 지급안한다고 하더라구요.
  • dunkbear 2012/09/08 20:42 #

    - 그런 측면도 있겠죠. 아직도 나치의 그늘에 시달리는 독일연방군으로서는 저런 행사를
    부각시킬 필요도 있을 겁니다.

    - 나치 친위대는 - 그 악명은 둘째치더라도 - 정규군이라고 할 수 없으니까요.
  • 콜드 2012/09/08 20:56 #

    현 시스템에 적응된 나머지 변화를 두려워해서 그런 것일지도?
  • dunkbear 2012/09/08 20:56 #

    그럴 겁니다. 냉전 시절부터 계속 이어져온 시스템이 대부분일테니까요.
  • 메이즈 2012/09/08 23:17 #

    나치친위대의 경우라고 해서 전부 나치 동조자로 보기는 좀 어렵습니다. 물론 SS 성립 초기 및 중기에 입대한 자들은 전원 조상까지 검사해서 선별한 열성적인 나치 추종자들이 맞습니다만 전쟁 후기에 가면 SS도 극심한 인력 부족에 시달리게 되어 여기저기서 병력을 차출하게 되는데 문제는 이들 중 상당수가 독일국방군에서 강제 차출되어 SS로 보내졌다는 겁니다. 이 경우는 같은 SS라고 해도 자발적인 입대가 아니라 강제적인 배정인 만큼 똑같은 대우를 할 수는 없죠.

    실제 독일군도 이 사실을 알고 있어서 SS라고 해서 전부 연금 박탈, 전범 처벌 등의 제재를 가한 게 아니라 강제 차출 여부를 조사하여 전쟁 말기 국방군에서 강제 차출되었거나 SS 입대를 강요당한 것으로 밝혀진 경우에는 처벌 및 제재 대상에서 제외하고 있다고 합니다.

    P.S 물론 여기서 경우에 따라 선처를 받은 건 언제까지나 전쟁 범죄 관여의 정도가 상대적으로 적고 강제 차출병이 상당히 많던데다 정규군과 비슷한 조직을 갖춘 무장친위대고 다른 친위조직은 해당 사항이 없습니다.
  • dunkbear 2012/09/09 18:06 #

    나치 친위대도 복잡한 사연을 갖고 있었군요. 근데 국방군으로부터 강제 차출되었다니.. 흠..
  • 누군가의친구 2012/09/09 00:18 #

    이런 불경기에서는 반가워할 군인은 없을듯 합니다.ㄱ-
  • dunkbear 2012/09/09 18:06 #

    그렇겠죠. 하지만 해야만 하는 개혁이니...
  • 가릉빈가 2012/09/09 08:07 #

    유럽에서 가장 잘나간다는 독일조차 이런가요 ㅠㅠ
  • dunkbear 2012/09/09 18:07 #

    독일도 경제불황에서 온전할 수는 없으니까요. (ㅜ.ㅜ)
  • 단쿠가 2012/09/10 21:59 #

    녹색 베레모는 육군 같은데, 파란색은 공군, 붉은색은 해군인가요?
  • dunkbear 2012/09/10 22:16 #

    세번째 사진 기준으로, 회색 상의는 다 육군입니다. 세일러복은 당연히 해군, 머리부터
    발 끝까지 어두운 청색으로 감싼 복장은 공군이죠. 다만 육군 중에서 베레모 색깔에 따
    른 차이는 모르겠습니다.

    초록색 베레모는 의장대 같기도 한데... 일단 독일 육군 대다수가 쓰는 베레모는 붉은 색
    입니다. 밝은 청색 베레모의 독일 육군은 어느 분야인지 죽어도 모르겠네요. 끄응....

    아, 그리고 아래 링크에 올라온 이미지들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http://bemil.chosun.com/nbrd/gallery/view.html?b_bbs_id=10044&pn=0&num=118755

    http://bemil.chosun.com/nbrd/gallery/view.html?b_bbs_id=10044&pn=0&num=118756
  • 쿠루니르 2012/09/15 16:43 #

    NATO의 방어를 책임지던 독일연방군이 ㅠㅠ 안타깝네요
  • dunkbear 2012/09/15 21:30 #

    세월무상입니다. (ㅠ.ㅠ)
※ 로그인 사용자만 덧글을 남길 수 있습니다.



호무호무한 검색

Loading

통계 위젯 (화이트)

045
321
5042158

2011 이글루스 TOP 100

2010 이글루스 TOP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