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use block


판보로 에어쇼에서 오해(?)를 부른 Yak-130 훈련기 군사와 컴퓨터

Yak-130's engine intakes cause confusion (기사 링크)

Flightglobal 기사로, 러시아의 이르쿠트 (Irkut)사에서 제조하는 야코블레프 (Yakovlev) Yak-130 제
트훈련기가 판보로 에어쇼 (Farnborough Air show)에서의 데뷔 비행을 못할 뻔 하는 해프닝을 겪
었다는 소식입니다. 이는 항공 관제요원들의 오해에서 비롯된 일이였다고 하네요.


ⓒ apgphoto

콘스탄틴 포포비치 (Konstantin Popovich) 이르쿠트 부사장은 Yak-130 훈련기의 성능을 홍보하기
위한 언론 프레젠테이션 중에, 이 훈련기의 독창적인 설계 중 하나가 오해를 불렀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판포로 에어쇼의 첫째날에 일어났다고 합니다.

이번 판보로 에어쇼에서 첫 데뷔하는 Ya-130 훈련기가 행사 첫번째 날에 첫 비행을 실시하려고 했
을 때 관제탑에서 이륙을 하지 말라고 지시했다고 합니다. 그 이유는 Yak-130의 엔진흡입구가 막혀
있었기 때문이었다고 포포비치 부사장은 언급했습니다.

이르쿠트 관계자들은 즉시 Yak-130이 FBW (Fly-By-Wire) 시스템으로 제어되는 엔진흡입구 덮개
문을 갖추고 있고, 이는 비포장 활주로나 잔디밭에서 운용할 때 외부 물질이 기체의 엔진에 손상을
주는 걸 막기위한 장치라고 관제요원들에게 설명해야 했다고 하네요.


ⓒ apgphoto

이 장치가 아마도 "이상한 특징 (peculiar feature)"임을 인정하면서도, 포포비치 부사장은 현지 관
제요원들의 우려에 놀랐다고 언급했습니다. 관제탑에서는 Yak-130이 (엔진흡입구 덮개가 닫힌 상
태로) 이륙할 수 있는 것이 확실하냐고 재차 물어봤다고 포포비치 부사장은 덧붙였습니다.

기사 내용은 여기까지입니다. 웬만큼 군사 분야에 흥미를 가진 분들이라면, 구소련/러시아제 전투
기 중에는 이륙할 때 엔진흡입구를 닫고 대신 동체 윗부분에 장착된 흡입구를 사용한다는 건 잘들
아시고 계실 겁니다. 원래 러시아 기지 활주로는 미국과 유럽처럼 '깔끔'하지 않은 편이죠.

판보로 에어쇼의 관제요원들이 착각했을 가능성도 있지만서도, 에어쇼에 러시아제 군용기가 처음
나온 것도 아닌데 그런 오해(?)를 한 게 좀 의문이기도 합니다. 제 생각엔 지금까지 행사에 참가한
러시아제 전투기들은 엔진흡입구를 닫는 기능을 쓰지 않았던게 아닌가 싶기도 합니다.


ⓒ Slider

판보로 공항은 활주로에 이물질이 없도록 관리할테고, 따라서 러시아 측에서 굳이 그런 기능을 동
원할 필요를 느끼지 못했을 수도 있으니까요. Yak-130의 데뷔 비행에서는 이르쿠트가 이 기체의
엔진흡입구 덮개 기능을 홍보하느라 일부러 덮개를 닫고 이륙하려고 해서 오해를 산 것 같습니다.

물론 이는 어디까지나 저의 추측일 뿐입니다. (^^;;)


사진 출처 - Flightglobal (링크)



덧글

  • 셔먼 2012/07/12 10:19 #

    이제 보니 야크기도 로리펜 못지않은 귀여움을 보유하고 있군요. ㅎㅎ
  • dunkbear 2012/07/12 23:32 #

    한때 패션의 고장인 이탈리아와 같이 개발하던 기종이니까요.
  • 아무것도없어서죄송 2012/07/12 10:25 #

    밀덕 경험치 50을 얻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dunkbear 2012/07/12 23:32 #

    별말씀을요. ㅎㅎㅎㅎ
  • dudwns256 2012/07/12 10:57 #

    1) 좋은 지식을 확보하는군요 감사합니다. 엔진흡입구 덮개는 러시아제 공격기에게만 적용되어 있는줄 알았는데 그것이 아니였군요.

    2)훈련기이지만 저렇게 무장을 장착해놓으니까 상당한 포스가 있군요.. 왜 시리아에서 저 기체를 원했는지 알겠네요.

  • dunkbear 2012/07/12 23:33 #

    1) 맹구 등 전투기들에도 일부 들어간 기능으로 압니다.

    2) 저런 무장을 한 공격기가 시리아 저항세력에게 공격을 가한다면... ㅎㄷㄷㄷ;;;
  • KittyHawk 2012/07/12 11:14 #

    이제는 옛일이라지만 저 기체에 우리가 물주로 나섰었더라면 식의 아쉬움이 일더군요...
  • dunkbear 2012/07/12 23:34 #

    뭐... 우리는 골든이글이가 있으니까요. (^^)
  • 긁적 2012/07/12 12:29 #

    저.. 저거 공격기로 써도 되겠습니다?!?!?!?!
  • 누군가의친구 2012/07/12 23:23 #

    넵, 경공격기로 사용 가능합니다.
  • dunkbear 2012/07/12 23:34 #

    공격기로 제안되고 있는 기종입니다. ㅎㅎㅎ
  • 디쟈너훈 2012/07/12 12:42 #

    아무래도 홍보성 행동일가능성이 크겠죠. 사실 일부러 공개행사에서 흡입구커버에대한 기능설명을 하고 나서 실제 비행시에는 커버는 오픈한 상태로 활주하는게 기본이었으니...
    사전 설명보단 기사화되고 조명을 받으려는 꽤 똑똑한 행동이 아닐까 하는...
  • dunkbear 2012/07/12 23:34 #

    네, 저도 홍보를 노린 행위가 아니었나 추측합니다. (^^)
  • 로리 2012/07/12 13:14 #

    언제나 왠지 이탈리아의 M-346으로 보이는 것은 제 눈의 착각이겠지요 ^^
  • 누군가의친구 2012/07/12 23:26 #

    사실 착각은 아닙니다. Yak-130의 개량형이거든요.
  • 로리 2012/07/12 23:27 #

    공동개발하다 찟어진 것 알고 있습니다 ^^;;; 농담입니다..
  • dunkbear 2012/07/12 23:35 #

    결혼은 파토났지만, 결과물은 그럭저럭 괜찮았죠. ㄲㄲㄲ
  • 유령 2012/07/12 13:21 #

    ...땅딸막하다고 해야하나, 정말 귀엽게 생겼네요.
    덕분에 홍보 잘 했으니 러시아 쪽 스탭의 승리? 군요. ^^
  • dunkbear 2012/07/12 23:35 #

    그렇습니다. 승리의 Yak-130!!! 승리의 이크루트!!!
  • 드레이크 2012/07/12 13:42 #

    mig-29 부터 시작한 유구한 역사지요 ㅇㅅㅇ, mig-29 의 인테이크 위 동체에 아가미 같이 생긴 부분이 있는데 이륙시 FOD에 대한 고려로 마찬가지로 에어덕트를 막고 이륙하지요, SU-27같은 경우 철망이고 이륙후 덕트에서 벗어납니다.
  • dunkbear 2012/07/12 23:36 #

    - MiG-29는 예전에 어디서 다큐를 보고 알게되었습니다. 신기하더군요. ㅎㅎㅎ

    - Su-27도 비슷한 시스템이 있었군요. (^^)
  • 이네스 2012/07/12 15:50 #

    홍보성이겠지요. 역시 공동개발하다 파토난거다보니 346이랑 닮았군요.
  • dunkbear 2012/07/12 23:36 #

    넵. M-346이랑 여러모로 닮아있습니다. (^^)
  • 세피아 2012/07/12 16:48 #

    야크... 귀엽군요. ㅋㅋ
  • dunkbear 2012/07/12 23:36 #

    귀엽죠. ㅎㅎㅎ
  • Radhgridh 2012/07/12 18:26 #

    응? 근데 왜 은근슬쩍 F4가 떠오르는 디자인인지 모르겠네요 ㅋ


    근데 "야크130 긔엽긔~"

    [.......] 흐그흐그
  • dunkbear 2012/07/12 23:37 #

    Yak-130의 귀여움이 대세군요!!!
  • 해색주 2012/07/12 18:27 #

    왠지 FA-50이 떠오르는 형태군요
  • dunkbear 2012/07/12 23:37 #

    아무래도 주렁주렁 달린 무장 때문이 아닌가... ㄲㄲㄲ
  • 가릉빈가 2012/07/12 20:09 #

    러시아제의 특징이죠
    활주로 상태가 좋지 못하니 대부분 상부에 에어 인테이크가 추가로....
  • dunkbear 2012/07/12 23:37 #

    그렇습니다. 덕분에 활주로에는 잡초들이 한가득~~
  • 누군가의친구 2012/07/12 23:27 #

    러시아제 기체를 처음 접하는 모양입니다.ㄲ
  • dunkbear 2012/07/12 23:38 #

    처음 접했다기 보다는 저런 기능을 잘 몰랐던 것 같습니다.

    누친님을 보고 콩댄스보다는 독일군을 먼저 떠올리는 것처럼요. (의미불명)
  • ttttt 2012/07/13 10:16 #

    다른 기종은 흡기구가 아래를 향해 있고 동체 아래에 붙어있어서 관제탑에서 안 보였던 것이고 이번 것은 노골적으로 보였기 때문인 것 같네요, 아마. 저거는 생긴 모양도 재래식이쟎아요.
  • dunkbear 2012/07/13 11:00 #

    에어쇼의 안전을 생각하면, 어느 기종이라도 저런 건 다 체크할 것 같습니다. (^^)
※ 로그인 사용자만 덧글을 남길 수 있습니다.



호무호무한 검색

Loading

통계 위젯 (화이트)

535
314
5042514

2011 이글루스 TOP 100

2010 이글루스 TOP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