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의 국영 뉴스통신사인 RIA Novosti에 올라온 군사 소식들입니다. 이번에는 미사일 관련 소식
들로 모아봤습니다.
Russia Looking at China S-400 Deliveries in 2017 (기사 링크)
익명을 요구한 한 방산업체 소식통에 따르면, 2017년부터 러시아가 S-400 트라이엄프 (Triumph) 지
대공 미사일 시스템을 중국에 수출하기 시작할 것으로 RIA Novosti에 밝혔다는 소식입니다. 수출형
S-400 모델이 2017년까지 개발될 것이고, 중국이 그 첫번째 고객이 될 거라고 하네요.

러시아에는 현재 S-400으로 구성된 4개 연대가 배치되어 있습니다. 2개 연대는 모스크바 지역에, 1개
연대는 발트 함대 (Baltic Fleet) 그리고 나머지 1개 연대는 동부군구 (Eastern Military District)에 배
치되어 있습니다. (동부군구는 2010년에 극동군구와 시베리아군구의 통합으로 출범했습니다.)
2020년까지 러시아는 28개의 S-400 연대를 갖출 예정으로, 주로 해안 및 국경 지대에 배치될 거라고
합니다. 1개 연대는 2개 대대로 구성된다고 하네요. 이번달 초에 러시아 국방부는 S-400을 수출할 계
획이 없으며, 오직 러시아군만을 위해 생산될 것이라고 밝힌 바 있습니다.
S-400 트라이엄프는 구소련 시절의 S-300을 잇는 중장거리 지대공 미사일 시스템으로, 최대 400 킬
로미터의 거리와 30 킬로미터의 고도에 있는 항공기, 무인기, 순항 미사일 그리고 탄도미사일을 포
함한 어떠한 항공 목표물도 효과적으로 요격할 수 있다고 합니다.

New S-400 Long-Range Missile Ready For Service – Official (기사 링크)
한편, 러시아의 항공미사일군 사령부의 참모총장인 안드레이 데민 (Andrei Demin) 소장이 자국의
가공할 S-400 방공시스템을 위한 새로운 장거리 미사일이 곧 실전배치될 것이라고 지난 6월 28일에
밝혔다는 소식입니다.
데민 소장은 구체적으로 어떤 모델의 미사일인지는 명시하지 않았지만, S-400 시스템을 위한 장거
리 미사일이 모든 테스트를 통과했으며, 곧 방공부대에 인도될 것이라고 RIA Novosti에 밝혔다고 하
네요. 전문가들에 따르면 이 미사일이 40N6 계열일 수 있다고 합니다.
40N6 미사일은 능동레이더 추적장치를 채택하고 최대 400 킬로미터까지의 범위에 있는 항공 목표
물을 요격할 수 있다고 합니다. 기사는 여기까지입니다. 다른 내용도 있는데 위 기사에서 언급된 S-
400 미사일에 대한 제원을 그대로 Ctrl+C, Ctrl+V한 것이라고 생략합니다. (^^)

Russia May Deploy First S-500 Missiles in 2013 - Air Force (기사 링크)
러시아 공군 사령관인 빅토르 본다레프 (Viktor Bondarev) 소장이 러시아군이 빠르면 2013년부터
차세대 지대공 미사일 시스템인 S-500의 1호기를 인도받을 수 있다고 지난 6월 27일에 밝혔다는 소
식입니다.
본다레프 소장은 러시아 공군dml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는 기자회견에서 빠르면 내년 (2013년)에
S-500 시스템의 1호기를 실전배치 받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RIA Novosti에 언급했다고 합니다. 본
다레프 소장은 러시아의 방공망이 매우 좋은 상태라고 강조하기도 했습니다.
이는 강력한 S-400 지대공 미사일 시스템으로 구성된 새로운 연대가 매년 배치되고 있기 때문이라
네요. 방공시스템의 운용인력도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정기적으로 훈련을 실시하고 있다고 합
니다. 과거에는 9-10초였던 항공위협에 대한 대응 시간이 이제는 3-4초로 단축되었다고 하네요.

기사 내용은 여기까지입니다. 마찬가지로 그 뒤에 나오는 건 S-400의 제원이라서 생략했습니다. 가
장 주목되는 소식은 S-400의 중국 수출 가능성이 아닐까 하네요. 2017년 즈음이면 러시아가 신형 지
대공 미사일을 개발 완료하거나 대거 배치할 지도 모르니 신빙성이 아주 없는 건 아닌 듯 합니다.
Hypersonic BrahMos Missile to be Ready by 2017 (기사 링크)
마지막으로 러시아와 인도가 공동개발하는 브라모스 2 (BrahMos 2) 극초음속 순항 미사일 소식입
니다. 브라모스 2의 첫 시제품이 2017년에 시험비행할 준비 중이라고 지난 6월 27일, 시바타누 필라
이 (Sivathanu Pillai) 브라모스 에어로스페이스 (BrahMos Aerospace) CEO가 밝혔다고 합니다.
러시아와 인도는 최근 마하 5-7의 속도로 비행할 수 있는 극초음속 브라모스 2 미사일의 개발에 합
의한 바 있습니다. 필라이 CEO는 모스크바 인근에서 열린 기술자 기술 포럼에서 완전히 기능하는
브라모스 2의 첫 시제품을 개발하는 데 약 5년의 기간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언급했다고 합니다.

ⓒ One half 3544
필라이 CEO는 개발진이 이미 마하 6.5의 속도로 일련의 실험실 테스트를 실시했다고 밝혔습니다.
신형 브라모스 2 미사일은 3개 모델로 만들어질 거라고 하네요. 지상 발사형, 항공기 발사형 그리고
해상 발사형으로 말입니다.
그리고 브라모스 2 미사일은 오직 인도와 러시아만을 위해 생산될 것이고, 제3국에는 수출되지 않
을 거라고 합니다. 1998년에 설립된 브라모스 에어로스페이스는 러시아와 인도의 합작투자로 세워
진 업체로, 현재 브라모스 초음속 순항 미사일을 생산 중에 있습니다.
브라모스 초음속 순항 미사일은 러시아의 NPO Mashinostroyenie 설계국에서 설계한 3M55 야혼
트 (Yakhont, NATO 제식명: SS-N-26)을 기반으로 하고 있습니다. 브라모스는 290 킬러미터의 사
거리에, 최대 300 킬로그램의 재래식 탄두를 실어나를 수 있다고 합니다.

ⓒ Bharat Rakshak
또한 최소 10 미터 고도의 목표물까지 효과적으로 요격할 수 있고, 최대 속도는 마하 2.8로, 미국이
개발한 아음속 순항미사일인 토마호크 (Tomahawk)보다 약 3배 빠르다고 합니다. 해상 및 지상 발
사형 모델은 성공적으로 테스트를 마쳐서 현재 인도 육군과 해군에 실전 배치되었다고 하네요.
항공기 발사형 브라모스 초음속 미사일의 비행 테스트는 올해 (2012년) 말까지 완료될 거라고 합니
다. 인도 공군은 수호이 (Suhkoi) Su-30MKI 플랭커-H (Flanker-H) 전투기 40대에 브라모스 초음
속 미사일을 장착할 계획이라고 하네요. 기사 내용은 여기까지입니다.
인도와 러시아 사이의 방산분야 합작 중에서 그래도 브라모스 계열 순항 미사일 프로그램이 내세울
만한 성과가 아닌가 봅니다. 초음속, 더 나아가서는 극초음속 순항미사일은 그 효과는 차치하더라
도 대응하는 입장에서는 상당히 까다로운 무기 체계일테니 말이죠.

ⓒ unknown
사진 출처 - Vitaly V. Kuzmin Military blog (링크) / 구글 검색 (링크)
들로 모아봤습니다.
Russia Looking at China S-400 Deliveries in 2017 (기사 링크)
익명을 요구한 한 방산업체 소식통에 따르면, 2017년부터 러시아가 S-400 트라이엄프 (Triumph) 지
대공 미사일 시스템을 중국에 수출하기 시작할 것으로 RIA Novosti에 밝혔다는 소식입니다. 수출형
S-400 모델이 2017년까지 개발될 것이고, 중국이 그 첫번째 고객이 될 거라고 하네요.

러시아에는 현재 S-400으로 구성된 4개 연대가 배치되어 있습니다. 2개 연대는 모스크바 지역에, 1개
연대는 발트 함대 (Baltic Fleet) 그리고 나머지 1개 연대는 동부군구 (Eastern Military District)에 배
치되어 있습니다. (동부군구는 2010년에 극동군구와 시베리아군구의 통합으로 출범했습니다.)
2020년까지 러시아는 28개의 S-400 연대를 갖출 예정으로, 주로 해안 및 국경 지대에 배치될 거라고
합니다. 1개 연대는 2개 대대로 구성된다고 하네요. 이번달 초에 러시아 국방부는 S-400을 수출할 계
획이 없으며, 오직 러시아군만을 위해 생산될 것이라고 밝힌 바 있습니다.
S-400 트라이엄프는 구소련 시절의 S-300을 잇는 중장거리 지대공 미사일 시스템으로, 최대 400 킬
로미터의 거리와 30 킬로미터의 고도에 있는 항공기, 무인기, 순항 미사일 그리고 탄도미사일을 포
함한 어떠한 항공 목표물도 효과적으로 요격할 수 있다고 합니다.

New S-400 Long-Range Missile Ready For Service – Official (기사 링크)
한편, 러시아의 항공미사일군 사령부의 참모총장인 안드레이 데민 (Andrei Demin) 소장이 자국의
가공할 S-400 방공시스템을 위한 새로운 장거리 미사일이 곧 실전배치될 것이라고 지난 6월 28일에
밝혔다는 소식입니다.
데민 소장은 구체적으로 어떤 모델의 미사일인지는 명시하지 않았지만, S-400 시스템을 위한 장거
리 미사일이 모든 테스트를 통과했으며, 곧 방공부대에 인도될 것이라고 RIA Novosti에 밝혔다고 하
네요. 전문가들에 따르면 이 미사일이 40N6 계열일 수 있다고 합니다.
40N6 미사일은 능동레이더 추적장치를 채택하고 최대 400 킬로미터까지의 범위에 있는 항공 목표
물을 요격할 수 있다고 합니다. 기사는 여기까지입니다. 다른 내용도 있는데 위 기사에서 언급된 S-
400 미사일에 대한 제원을 그대로 Ctrl+C, Ctrl+V한 것이라고 생략합니다. (^^)

Russia May Deploy First S-500 Missiles in 2013 - Air Force (기사 링크)
러시아 공군 사령관인 빅토르 본다레프 (Viktor Bondarev) 소장이 러시아군이 빠르면 2013년부터
차세대 지대공 미사일 시스템인 S-500의 1호기를 인도받을 수 있다고 지난 6월 27일에 밝혔다는 소
식입니다.
본다레프 소장은 러시아 공군dml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는 기자회견에서 빠르면 내년 (2013년)에
S-500 시스템의 1호기를 실전배치 받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RIA Novosti에 언급했다고 합니다. 본
다레프 소장은 러시아의 방공망이 매우 좋은 상태라고 강조하기도 했습니다.
이는 강력한 S-400 지대공 미사일 시스템으로 구성된 새로운 연대가 매년 배치되고 있기 때문이라
네요. 방공시스템의 운용인력도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정기적으로 훈련을 실시하고 있다고 합
니다. 과거에는 9-10초였던 항공위협에 대한 대응 시간이 이제는 3-4초로 단축되었다고 하네요.

기사 내용은 여기까지입니다. 마찬가지로 그 뒤에 나오는 건 S-400의 제원이라서 생략했습니다. 가
장 주목되는 소식은 S-400의 중국 수출 가능성이 아닐까 하네요. 2017년 즈음이면 러시아가 신형 지
대공 미사일을 개발 완료하거나 대거 배치할 지도 모르니 신빙성이 아주 없는 건 아닌 듯 합니다.
Hypersonic BrahMos Missile to be Ready by 2017 (기사 링크)
마지막으로 러시아와 인도가 공동개발하는 브라모스 2 (BrahMos 2) 극초음속 순항 미사일 소식입
니다. 브라모스 2의 첫 시제품이 2017년에 시험비행할 준비 중이라고 지난 6월 27일, 시바타누 필라
이 (Sivathanu Pillai) 브라모스 에어로스페이스 (BrahMos Aerospace) CEO가 밝혔다고 합니다.
러시아와 인도는 최근 마하 5-7의 속도로 비행할 수 있는 극초음속 브라모스 2 미사일의 개발에 합
의한 바 있습니다. 필라이 CEO는 모스크바 인근에서 열린 기술자 기술 포럼에서 완전히 기능하는
브라모스 2의 첫 시제품을 개발하는 데 약 5년의 기간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언급했다고 합니다.

ⓒ One half 3544
필라이 CEO는 개발진이 이미 마하 6.5의 속도로 일련의 실험실 테스트를 실시했다고 밝혔습니다.
신형 브라모스 2 미사일은 3개 모델로 만들어질 거라고 하네요. 지상 발사형, 항공기 발사형 그리고
해상 발사형으로 말입니다.
그리고 브라모스 2 미사일은 오직 인도와 러시아만을 위해 생산될 것이고, 제3국에는 수출되지 않
을 거라고 합니다. 1998년에 설립된 브라모스 에어로스페이스는 러시아와 인도의 합작투자로 세워
진 업체로, 현재 브라모스 초음속 순항 미사일을 생산 중에 있습니다.
브라모스 초음속 순항 미사일은 러시아의 NPO Mashinostroyenie 설계국에서 설계한 3M55 야혼
트 (Yakhont, NATO 제식명: SS-N-26)을 기반으로 하고 있습니다. 브라모스는 290 킬러미터의 사
거리에, 최대 300 킬로그램의 재래식 탄두를 실어나를 수 있다고 합니다.

ⓒ Bharat Rakshak
또한 최소 10 미터 고도의 목표물까지 효과적으로 요격할 수 있고, 최대 속도는 마하 2.8로, 미국이
개발한 아음속 순항미사일인 토마호크 (Tomahawk)보다 약 3배 빠르다고 합니다. 해상 및 지상 발
사형 모델은 성공적으로 테스트를 마쳐서 현재 인도 육군과 해군에 실전 배치되었다고 하네요.
항공기 발사형 브라모스 초음속 미사일의 비행 테스트는 올해 (2012년) 말까지 완료될 거라고 합니
다. 인도 공군은 수호이 (Suhkoi) Su-30MKI 플랭커-H (Flanker-H) 전투기 40대에 브라모스 초음
속 미사일을 장착할 계획이라고 하네요. 기사 내용은 여기까지입니다.
인도와 러시아 사이의 방산분야 합작 중에서 그래도 브라모스 계열 순항 미사일 프로그램이 내세울
만한 성과가 아닌가 봅니다. 초음속, 더 나아가서는 극초음속 순항미사일은 그 효과는 차치하더라
도 대응하는 입장에서는 상당히 까다로운 무기 체계일테니 말이죠.

ⓒ unknown
사진 출처 - Vitaly V. Kuzmin Military blog (링크) / 구글 검색 (링크)
덧글
불곰국이 아직 공기역학쪽에서는 한 수 위인가봐요.
PS : 혹시 저거 대함미사일버전은 없나요? 만일 대함미사일로 개조하면 그야말로 ㅈ될듯한데 (....)
PS: 위에서 언급한 해상 발사형이 아마 대함 미사일 모델일 겁니다. 우리나
라도 중국 항모 겨냥해서 초음속 순항 미사일 개발한다고 들었는데 말이죠...
http://en.wikipedia.org/wiki/P-800_Oniks
요것이 램젯 대함 미사일입죠
2)내년이지만 벌써 S-500을 배치할준비를 하는군요. S-400나온지 시간이 얼마나 지났다고 벌써 S-500을 배치하는지 모르겠습니다. 과연 성능이 정말궁금하군요. 또 이번에 얼마나 어머니 러시아의 기상을 보여줄련지.
3)극초음속 미사일인 브라모스2가 실전배치 된다면 방어하는 쪽에서는 정말 머리아프겠군요. 마하 6.5라.. 그럼 시속으로 환산하면 7956km/h 거의 8000km인데 저거 대함미사일 버전있으면 그함은 바로 용궁행이겠군요.
2) S-400의 업그레이드형 정도가 아닐까 봅니다. 내년이면 너무 빨라서....
3) 빠른 속도가 명중률을 보장하는 건 아니지만... 말씀대로 방어하는 쪽에
서는 머리 아픈 무기이긴 합니다.
마하 5면 1초에 1.7KM를 날아오니까, 10초에 17KM, 20초에 34KM..
여담으로 댓글 쓰고나서 dunkbear님이 답글 달아주시니 답글 쓰는 재미가 쏠쏠하군요 ^^
dudwns256님 // 300km에 2분 걸리면 정말 미친듯한 속도네요. 그걸 어떻게 대응할 지...
이 누추한 블로그를 찾아주셔서 감사의 뜻으로 답글을 달고 있습니다. 근데 요즘 찾으시는
분들이 많아지셔서 고민이 좀 되네요. ㄲㄲㄲ
그러니 불곰국은 한국에게 넘겨달...어?
아니면 다운그레이드된 모델을 팔던가요... ㅎㅎㅎㅎ
매우 커서 양쪽 엔진 가운데, 즉 동체 중앙에 딱 한발 탑제 가능 한걸로 압니다.
덩크베어님 글중 예전 꺼에 아마 사진이 있던걸로 기억 됩니다
이 둘을 혼용한 전술이 있는 걸까요?
브라모스야 진정 방어체계 만들 생각이면 알라스카에서 실험하던 레이저건을(...어!?)
- 특별한 존재지만 '각별한' 존재는 아니죠. 중국에게 북한은 어디까지나 대미 방어용 쉴드일 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