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랜만에 올리는 미 태평양 함대 (U.S. Pacific Fleet)의 사진들입니다. 대충대충 올려서 올해 2월
만 아니라 3월에 찍은 사진들까지 올릴 생각이었는데, 역시 미 해군의 사진전문병 (Mass Com-
munication Specialist)들이 쏟아내는 물량은 감당하기 어려웠습니다. (ㅠ.ㅠ)
고작 2월까지 찍은 사진들만 올라왔습니다. 빠른 시일 내에 3-4월 사진들도 올려봐야겠습니다. 별
거 없지만 즐감하시길... (^^)



[2012년 2월 14일, 일본의 아츠기 미 해군 항공기지 (Naval Air Facility Atsugi)에서 제136 전자전대
대 (Electronic Attack Squadron 136, VAQ-136) 소속 EA-6B 프라울러 (Prowler) 전자전기들이 마
지막으로 기지를 이륙하는 모습입니다.
일명 "건틀렛츠 (Gauntlets)"로 불리는 VAQ-136 소속의 프라울러들은 태평양을 가로질러 6,700 킬
로미터의 거리를 비행해서 미 워싱턴주의 위드비 아일랜드 (Whidbey Island)에 도착했다고 합니다.
이들은 제141 전자전대대 (VAQ-141), 일명 "쉐도우 호크스 (Shadow Hawks)" 소속 EA-18G 그라
울러 (Growler) 전력으로 대체되었다고 합니다.
VAQ-136 "건틀렛츠"는 거의 32년 동안 제5 항모비행단 (Carrier Air Wing 5, CVW 5)에 소속되어 있
었다고 하네요. ⓒ U.S. Navy]



[2012년 2월 15일, 일본 하코다테 (函館)를 친선방문한 미 해군 기뢰제거함 USS 패트리어트 (USS
Patriot, MCM7)의 함장인 수잔 챙 (Suzanne Schang) 소령과 장교들이 1854년에 일본을 개항시킨
매튜 페리 (Matthew Perry) 제독의 동상과 당시 현지에서 사망한 미 해군 수병 2명의 무덤을 방문
한 모습입니다. ⓒ U.S. Navy]



[2012년 2월 16일, 제9 항모비행단 (Carrier Air Wing 9, CVW 9) 소속 전투기, 전자전기, 및 조기경
보기들이 니미츠 (Nimitz)급 항모인 USS 존 C. 스테니스 (USS John C. Stennis, CVN 74)함과 함
께 항공전력검증 (air power demonstration) 훈련을 실시하는 모습입니다. ⓒ U.S. Navy]



[2012년 2월 18일, 싱가포르에서 열린 싱가포르 에어쇼 2012 (Singapore Air Show 2012) 행사에
참여한 미 해군 제16 초계대대 (Patrol Squadron 16) 소속 조종사들과 승조원들이 행사를 방문한
관중들에게 P-3C 오라이언 (Orion) 대잠초계기를 구경시켜주는 모습입니다. ⓒ U.S. Navy]



[2012년 2월 20일, 미 해군 타이콘데로가 (Ticonderoga)급 유도 미사일 순양함인 USS 케이프 세
인트 조지 (USS Cape St. George, CG 71)함이 실탄사격 훈련의 일환으로 MK-45 5인치 함포와
MK-15 팰링스 (Phalanx) 근접방공시스템, 또는 CIWS (Close-In Weapon System)를 사격하는
모습입니다. ⓒ U.S. Navy]



[2012년 2월 22일, 제71 헬기해상공격대대 (Helicopter Maritime Strike Squadron 71, HSM 71)
및 제8 헬기해상전투대대 (Helicopter Sea Combat Squadron 8, HSC 8) 소속 MH-60S 나이트
호크 (Knighthawk) 헬기들이 비행 및 구조 시범을 보이는 모습입니다.
미 항모 USS 존 C. 스테니스함에서 실시하는 항공전력검증훈련의 일환으로 참여한 MH-60S 헬
기들 뒤로 제9 항공비행단 소속 전투기, 전자전기 및 조기경보기들이 편대비행을 실시하고 있는
모습도 보입니다. ⓒ U.S. Navy]




[첫번째 사진은 2012년 2월 24일, 부산을 방문한 세실 헤이니 (Cecil Haney) 미 태평양 함대 사령
관이 ROKS 율곡이이 (DDG 992)함을 방문하고 나서 하선할 때 정렬한 우리 해군 수병들의 경례에
답하는 모습입니다.
두번째 사진은 헤이니 대장이 부산을 방문하면서 우리나라의 최윤희 해군참모총장과 만나서 회담
하는 모습입니다. 태평양 함대 사령관에 취임한 이래 처음으로 우리나라를 방문한 헤이니 사령관
은 방문기간 동안 우리군과 주한미군의 고위 관계자들, 주한 미국 대사 및 대사관 직원들을 만나고
군시설들도 방문했다고 합니다.
세번째 사진은 헤이니 대장이 남동우 함장의 안내를 받아 율곡이이함을 구경하는 모습이고, 네번
째 사진은 율곡이이함에서 식사를 함께 한 뒤, 우리 해군 수병들에게 감사의 뜻을 전하고 있는 헤
이니 대장의 모습입니다. ⓒ U.S. Navy]


[2012년 5월 25일, 제22 전투대대 (Strike Fighter Squadron 22, VFA-22) 소속 F/A-18F 슈퍼 호넷
(Super Hornet)을 조종하는 마이클 로링거 (Michael Loringer) 소위가 제81 전투대대 (VFA-81)
소속 마이클 리버 (Michael River) 중령이 조종하는 F/A-18E 슈퍼 호넷으로부터 연료를 보급받는
모습입니다.
두 기체 모두 USS 칼 빈슨 (USS Carl Vinson, CVN 70) 함모가 기함인 제1 항모전단 (Carrier S-
trike Group 1) 산하 제17 항모비행단 (Carrier Air Wing 17, CVW-17)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미 해
군 사진으로는 이전과 다른 스타일로 찍은 것들이라 올려봤습니다. ⓒ U.S. Navy]





[2012년 2월 27일, 7달 동안의 해외 임무를 완수하고 미 캘리포니아주의 샌디에고 (San Diego)항
으로 들어오고 있는 미 항모 USS 존 C. 스테니스함의 갑판 위에 도열한 미 해군 장병들과 이들을
가족과 친지들이 환영하는 모습입니다.
네번째 사진은 샌디에고항에 정박한 USS 존 C. 스테니스함에서 내린 한 미 해군 수병이 자신의
아이를 처음으로 안아보고 있는 모습입니다. USS 존 C. 스테니스함은 샌디에고를 거쳐서 워싱턴
주의 브레머턴 (Bremerton)항에 최종 입항할 예정입니다.
첫번째와 두번째 사진의 뒷 배경에 있는, 그리고 다섯번째 사진의 함정은 미 해군의 알레이 버크
(Arleigh Burke)급 구축함인 USS 웨인 E. 메이어 (USS Wayne E. Meyer, DDG 108)함입니다.
이 구축함도 USS 존 C. 스테니스함과 함께 7달 동안 해외 배치되었었답니다. ⓒ U.S. Navy]






[2012년 2월 27일, 미 해병대 태평양 함대 대테러보안팀 또는 FASTPAC (Fleet Anti-terrorism S-
ecurity Team Pacific)의 제2 중대 (2nd Company) 산하 제2 소대 (2nd Platoon) 소속 미 해병대
원들이 전술기동 및 M-16 소총과 M249 기관총의 사격 훈련을 실시하는 모습입니다.
이 훈련은 2월 27일부터 3월 4일까지 포천시에 위치한 로드리게즈 훈련장 (Camp Rodriguez)에서
실시된 FAST 훈련 2012 (FAST Exercise 2012)의 일환으로 FASTPAC의 제2 소대 소속 미 해병대
원 50명이 참여해서 무기 숙련도의 유지 및 향상을 훈련받았답니다. ⓒ U.S. Navy]
오늘은 여기까지입니다. (^^)
사진 출처 - 미 태평양 함대 Flickr 페이지 (링크)
만 아니라 3월에 찍은 사진들까지 올릴 생각이었는데, 역시 미 해군의 사진전문병 (Mass Com-
munication Specialist)들이 쏟아내는 물량은 감당하기 어려웠습니다. (ㅠ.ㅠ)
고작 2월까지 찍은 사진들만 올라왔습니다. 빠른 시일 내에 3-4월 사진들도 올려봐야겠습니다. 별
거 없지만 즐감하시길... (^^)



[2012년 2월 14일, 일본의 아츠기 미 해군 항공기지 (Naval Air Facility Atsugi)에서 제136 전자전대
대 (Electronic Attack Squadron 136, VAQ-136) 소속 EA-6B 프라울러 (Prowler) 전자전기들이 마
지막으로 기지를 이륙하는 모습입니다.
일명 "건틀렛츠 (Gauntlets)"로 불리는 VAQ-136 소속의 프라울러들은 태평양을 가로질러 6,700 킬
로미터의 거리를 비행해서 미 워싱턴주의 위드비 아일랜드 (Whidbey Island)에 도착했다고 합니다.
이들은 제141 전자전대대 (VAQ-141), 일명 "쉐도우 호크스 (Shadow Hawks)" 소속 EA-18G 그라
울러 (Growler) 전력으로 대체되었다고 합니다.
VAQ-136 "건틀렛츠"는 거의 32년 동안 제5 항모비행단 (Carrier Air Wing 5, CVW 5)에 소속되어 있
었다고 하네요. ⓒ U.S. Navy]



[2012년 2월 15일, 일본 하코다테 (函館)를 친선방문한 미 해군 기뢰제거함 USS 패트리어트 (USS
Patriot, MCM7)의 함장인 수잔 챙 (Suzanne Schang) 소령과 장교들이 1854년에 일본을 개항시킨
매튜 페리 (Matthew Perry) 제독의 동상과 당시 현지에서 사망한 미 해군 수병 2명의 무덤을 방문
한 모습입니다. ⓒ U.S. Navy]



[2012년 2월 16일, 제9 항모비행단 (Carrier Air Wing 9, CVW 9) 소속 전투기, 전자전기, 및 조기경
보기들이 니미츠 (Nimitz)급 항모인 USS 존 C. 스테니스 (USS John C. Stennis, CVN 74)함과 함
께 항공전력검증 (air power demonstration) 훈련을 실시하는 모습입니다. ⓒ U.S. Navy]



[2012년 2월 18일, 싱가포르에서 열린 싱가포르 에어쇼 2012 (Singapore Air Show 2012) 행사에
참여한 미 해군 제16 초계대대 (Patrol Squadron 16) 소속 조종사들과 승조원들이 행사를 방문한
관중들에게 P-3C 오라이언 (Orion) 대잠초계기를 구경시켜주는 모습입니다. ⓒ U.S. Navy]



[2012년 2월 20일, 미 해군 타이콘데로가 (Ticonderoga)급 유도 미사일 순양함인 USS 케이프 세
인트 조지 (USS Cape St. George, CG 71)함이 실탄사격 훈련의 일환으로 MK-45 5인치 함포와
MK-15 팰링스 (Phalanx) 근접방공시스템, 또는 CIWS (Close-In Weapon System)를 사격하는
모습입니다. ⓒ U.S. Navy]



[2012년 2월 22일, 제71 헬기해상공격대대 (Helicopter Maritime Strike Squadron 71, HSM 71)
및 제8 헬기해상전투대대 (Helicopter Sea Combat Squadron 8, HSC 8) 소속 MH-60S 나이트
호크 (Knighthawk) 헬기들이 비행 및 구조 시범을 보이는 모습입니다.
미 항모 USS 존 C. 스테니스함에서 실시하는 항공전력검증훈련의 일환으로 참여한 MH-60S 헬
기들 뒤로 제9 항공비행단 소속 전투기, 전자전기 및 조기경보기들이 편대비행을 실시하고 있는
모습도 보입니다. ⓒ U.S. Navy]




[첫번째 사진은 2012년 2월 24일, 부산을 방문한 세실 헤이니 (Cecil Haney) 미 태평양 함대 사령
관이 ROKS 율곡이이 (DDG 992)함을 방문하고 나서 하선할 때 정렬한 우리 해군 수병들의 경례에
답하는 모습입니다.
두번째 사진은 헤이니 대장이 부산을 방문하면서 우리나라의 최윤희 해군참모총장과 만나서 회담
하는 모습입니다. 태평양 함대 사령관에 취임한 이래 처음으로 우리나라를 방문한 헤이니 사령관
은 방문기간 동안 우리군과 주한미군의 고위 관계자들, 주한 미국 대사 및 대사관 직원들을 만나고
군시설들도 방문했다고 합니다.
세번째 사진은 헤이니 대장이 남동우 함장의 안내를 받아 율곡이이함을 구경하는 모습이고, 네번
째 사진은 율곡이이함에서 식사를 함께 한 뒤, 우리 해군 수병들에게 감사의 뜻을 전하고 있는 헤
이니 대장의 모습입니다. ⓒ U.S. Navy]


[2012년 5월 25일, 제22 전투대대 (Strike Fighter Squadron 22, VFA-22) 소속 F/A-18F 슈퍼 호넷
(Super Hornet)을 조종하는 마이클 로링거 (Michael Loringer) 소위가 제81 전투대대 (VFA-81)
소속 마이클 리버 (Michael River) 중령이 조종하는 F/A-18E 슈퍼 호넷으로부터 연료를 보급받는
모습입니다.
두 기체 모두 USS 칼 빈슨 (USS Carl Vinson, CVN 70) 함모가 기함인 제1 항모전단 (Carrier S-
trike Group 1) 산하 제17 항모비행단 (Carrier Air Wing 17, CVW-17)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미 해
군 사진으로는 이전과 다른 스타일로 찍은 것들이라 올려봤습니다. ⓒ U.S. Navy]





[2012년 2월 27일, 7달 동안의 해외 임무를 완수하고 미 캘리포니아주의 샌디에고 (San Diego)항
으로 들어오고 있는 미 항모 USS 존 C. 스테니스함의 갑판 위에 도열한 미 해군 장병들과 이들을
가족과 친지들이 환영하는 모습입니다.
네번째 사진은 샌디에고항에 정박한 USS 존 C. 스테니스함에서 내린 한 미 해군 수병이 자신의
아이를 처음으로 안아보고 있는 모습입니다. USS 존 C. 스테니스함은 샌디에고를 거쳐서 워싱턴
주의 브레머턴 (Bremerton)항에 최종 입항할 예정입니다.
첫번째와 두번째 사진의 뒷 배경에 있는, 그리고 다섯번째 사진의 함정은 미 해군의 알레이 버크
(Arleigh Burke)급 구축함인 USS 웨인 E. 메이어 (USS Wayne E. Meyer, DDG 108)함입니다.
이 구축함도 USS 존 C. 스테니스함과 함께 7달 동안 해외 배치되었었답니다. ⓒ U.S. Navy]






[2012년 2월 27일, 미 해병대 태평양 함대 대테러보안팀 또는 FASTPAC (Fleet Anti-terrorism S-
ecurity Team Pacific)의 제2 중대 (2nd Company) 산하 제2 소대 (2nd Platoon) 소속 미 해병대
원들이 전술기동 및 M-16 소총과 M249 기관총의 사격 훈련을 실시하는 모습입니다.
이 훈련은 2월 27일부터 3월 4일까지 포천시에 위치한 로드리게즈 훈련장 (Camp Rodriguez)에서
실시된 FAST 훈련 2012 (FAST Exercise 2012)의 일환으로 FASTPAC의 제2 소대 소속 미 해병대
원 50명이 참여해서 무기 숙련도의 유지 및 향상을 훈련받았답니다. ⓒ U.S. Navy]
오늘은 여기까지입니다. (^^)
사진 출처 - 미 태평양 함대 Flickr 페이지 (링크)
덧글
과 함께 찍은 사진을 보면 양국 해군의 제복을 구별 못할 정도였습니다. ㅋㅋㅋ
http://www.flickr.com/photos/compacflt/6777966510/in/set-72157629131390757
모자의 모표하고 단추 갯수, 그리고 계급장 형태보면 대략 미국해군 영향받았는지 영국해군 영향 받았는지 정도는 구분이 가능합니다...(멍) 미국해군도 사실상 로열 네이비의 영향을 받은 것이긴 해도 나름 구분점이 있지만요.
FAST 팀은 같은 경우... 덕국의 함대방호군과 같은 건가요?
시설 및 시스템 (원자로나 무기)을 보호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고 합니다.
중간 쯤에 무려 '미국 태평양 함대 사령관'과 만난 수병들을 보니 왠지 눈시울이 붉어지는 건 제가 군필자이기 때문일까요(...)
- 해군 복무하셨나보죠? (^^)
암튼 링크 감사합니다. (^^)
지금 미국 말고 전자전기 있는 나라 있던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