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use block


F-35 프로그램에 우려를 표명한 신임 미 합참의장 군사와 컴퓨터

Dempsey Worries About Cost Of JSF Variants (기사 링크)

Aviation Week 기사로, 지난 9월 30일 퇴임한 마이크 뮬렌 (Mike Mullen) 제독의 뒤를 이어 미 합
동참모본부 의장, 즉 합참의장 (Chairman of the Joint Chiefs of Staff, 또는 CJCS)에 취임한 마틴
뎀프시 (Martin Dempsey) 장군이 F-35 JSF (Joint Strike Fighter) 프로그램의 미래에 대해 의문
을 표시했다는 소식입니다.



(지난 9월 30일 열린 미 합참의장 이-취임식에서 18대 미 합참의장에 임명된 마틴 뎀프시 육군
장군이 버락 오바마 미 대통령과 악수를 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 DOD)


뎀프시 의장의 이러한 의견은 지난 10월 13일 열린 미 하원 국방위원회 (House Armed Services
Committee)의 청문회에 출석했을 때 플로리다주 민주당 하원의원인 제프 밀러 (Jeff Miller)가 미
해병대의 JSF 모델인 F-35B 프로그램을 미 국방성이 확실하게 진행시킬 것인지에 대해 질문했을
때 언급된 것이라고 합니다.

이 질문에 대해 뎀프시 합참의장은 (F-35B 프로그램의 미래에 대해) 어떠한 보장도 하지 않았다고
하네요. 그는 자신이 (F-35의) 3개 모델에 대해, 그리고 현재의 재정 상황에서 3개 모델 모두를 도
입할 여유가 될 지 우려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3개 JSF 모델들이 미 국방성과 미군에 어느
정도의 재정적인 어려움을 안겨주고 있다는 점도 덧붙였다고 합니다.



(지난 9월 30일 열린 미 합참의장 이-취임식에서 18대 합참의장인 마틴 뎀프시 육군 장군이 전임
자이자 17대 합참의장인 마이크 뮬렌 해군 제독과 나란히 서있는 모습입니다. ⓒ DOD)


이에 대해 밀러 하원의원은 백악관의 관리 및 예산부 (Office of Management and Budget)가 미
국방성에게 경제 성장을 위한 최상의 기회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선택하라고 요청했다면서, JSF
가 그러한 프로그램 중 하나라고 지적했습니다. 또한 F-35 프로그램이 12만7천개의 직간접적으로
연관된 일자리를 제공한다면서, (JSF를 진행시킬만한) 재원을 가지고 있음을 언급했다고 합니다.

위 발언들은 향후 미 국방성의 예산 및 전략에 주로 초점을 맞춘 청문회 도중 나온 거라고 합니다.
미 국방성은 향후 10년간 4천5백억 달러 규모의 예산을 감축할 예정이지만, 미 의회는 추가 감축
을 요구할 수도 있다고 하네요. 기사 내용은 여기까지 입니다. 기본적으로 같은 플랫폼에서 3개 모
델을 개발한다는 계획은 1990년대 후반에 운용 여건을 용이하게 하려고 제안된 것이라고 합니다.



(지난 9월 30일 열린 미 합참의장 이-취임식에서 국가가 연주되는 동안 경의를 표하고 있는 마틴
뎀프시 미 합참의장과 레온 파네타 미 국방장관의 모습입니다. ⓒ DOD)


같은 플랫폼에서 파생된 3개 모델의 전투기들을 도입하면, 공통된 생산라인과 '규모의 경제' 개념
을 통해서 제조사인 록히드 마틴 (Lockheed Martin)이 기본적인 F-35 전투기를 공군, 해군 및 해
병대의 운용 요건에 맞도록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는 것이죠. 하지만 현재 이 이론이 이
론일 뿐이었다는 점은 명확해 보입니다.

작년에 미 국방성은 F-35B 프로그램에 2년간의 '집행유예'를 선고했었습니다. 뎀프시 신임 합참
의장의 의견도 이러한 미 국방성의 F-35B 프로그램에 대한 입장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을 것 같
네요. 게다가 요즘 미 정부는 예산을 후려치는데 혈안이 되어 있고, 밀러 하원의원의 "일자리" 지
적에도 불구하고 JSF 프로그램은 예산 삭감의 좋은 먹잇감이기도 합니다.



(지난 9월 30일 열린 미 합참의장 이-취임식에서 이임하는 뮬렌 합참의장의 인사말에 폭소하고
있는 파네타 미 국방장관, 조 바이든 미 부통령과 오바마 대통령의 모습입니다. ⓒ DOD)


아무튼 현재 상륙함에서 이착륙 테스트를 진행 중인 F-35B 프로그램의 미래는 당분간 위험한 줄
타기를 계속할 수 밖에 없을 것 같습니다... 여기 올린 사진들은 지난 9월 30일 열린 미 합참의장
이-취임식의 모습으로, 이 행사에는 뮬렌 제독과 뎀프시 장군을 비롯해서 오바마 미 대통령, 조
바이든 부통령 및 레온 파네타 국방장관을 포함한 정관계 인사들이 참여했습니다.


사진 출처 - 미 국방성 홈페이지 (링크)



덧글

  • 무명병사 2011/10/17 20:07 #

    아주 믿음직스러운 모습을 보여주지 못하는 이상, 미 의회가 "F-22도 저런데 F-35도 때려치고 걍 F-15하고 F-16하고 F/A-18로 버티죠?"할 가능성도 있겠네요. 부디 예전의 '원조 해리어'같은 꼴이 나지 않기를 바랍니다......

    * 그나저나 3차 FX사업 도중에 이런 일이 터졌으니 록마는 속이 타들어갈듯.....(하지만 보잉도 웃을 처지가 못된다는 게 비극이죠.)
  • dunkbear 2011/10/17 20:11 #

    그 정도는 아닐 겁니다. 새로운 일자리 창출을 생각하면 미 의회도 어느 정도의 유연성(?)을
    가져야 하거든요. F-35를 "경제적인 이익"으로 포장하고 싶어한다고 생각됩니다. 일자리 창
    출에 기여하고 자국 국방에도 기여하는 그런 모습으로 말이죠...
  • Nine One 2011/10/17 20:21 #

    과연!!!!!! F-35의 3가지 운용플렌은 F-35 개발 허가 통과를 위한 탁상공론이었다는 군요.

    아무리 그래도 그 작은 것에 다 구겨 넣으려고 하니... 차라리 F-4 팬텀2처럼 쓰면 쓸 수록 계속 개량해 가는 것이 더 나을지도 모르겠습니다.
  • dunkbear 2011/10/17 21:21 #

    당시에는 그럴 싸 했던 이론이었던 것이죠.

    돈도 절약하고 F-16의 뒤를 이을 스텔스기도 얻고 말입니다.

    하지만 다 이론에 불과했다는 게 결국은....
  • KittyHawk 2011/10/17 20:24 #

    작금 벌어지는 F-35 계획의 표류를 보면 4세대 걸작 4총사 중 F-14만 유일하게 버티기에 성공하지 못한 게 안타까울 뿐입니다... 15, 16, 18은 '이제 우린 살았어!'에 가까운 분위기가 되어가니... 덤으로 마땅한 대체자를 찾지 못한 채 물러나야 했던 A-6도 미 해군이 오기로라도 버티기에 돌입시킨 채 이 상황을 맞이했더라면... 생각해보면 참 오묘하단 말이죠. 그냥 전형적인 고정익 공격기로 계획된 A-12 어벤저를 그대로 끌고 나가는 게 낫지 않았냐는 생각이 들게 만들 정도로 F-35가 저 지경이 되어가니...
  • dunkbear 2011/10/17 21:22 #

    A-12는 최근까지도 법정공방으로 (결과가 어떻게 나왔는지 모르겠지만요.) 질질 끈 케이스이긴 합니다만...

    F-35를 보면 무기 개발이라는 게 얼마나 골치 아프고 어려운 일인지 세삼 깨닫게 됩니다.
  • 마루 2011/10/17 20:54 #

    이제는 어떤 계획이 나와도 이상하지 않고 놀랍지도 않습니다.
    솔직히 그냥 F-14 개량이나 할 것이지...
    냥이가 그리워요!!!
  • dunkbear 2011/10/17 21:23 #

    이제는 때가 늦었죠... (ㅠ.ㅠ)
  • 2011/10/17 20:55 # 비공개

    비공개 덧글입니다.
  • dunkbear 2011/10/17 21:23 #

    어떻게 해서든 남은 거라도 건져야 하는데 말입니다... 흠...

    뭐, 일단 참여한 나라들은 도입할 겁니다. 자국 방산업계와 일자리를 위해서라도 말이죠.
  • 해색주 2011/10/17 21:46 #

    조만간 한국정부에서 F-35 구매한다에 만 원 겁니다. ㅋㅋ
  • dunkbear 2011/10/17 23:18 #

    크억... 그렇게 가능성이 높았나요? OTL
  • 잡음맨Plus 2011/10/17 21:50 #

    항공 모함에 배치하면 전투할시 여러모로 능력이 향상될테니

    위험을 무릅스고도 진행하는군요..

    그나저나 예전에 들은 바로는 팬덤 레이였나? x - 47B 였나?

    이건 아직도 실험중인가요?.. 들은 바로는 컴퓨터 시뮬레이터로 항공 모함에 착륙 관련했다고하든데...

    이젠 미래엔 무인 스텔스 전투기가 항공 모함을 장악하겠군요 -- ㅋ
  • dunkbear 2011/10/17 23:18 #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하면 F-15도 항모에 착륙시킬 수 잇죠. ㄲㄲㄲ

    미 해병대 입장에서는 상륙함에서 운용할 전투기가 필요한 건데.. 과연...
  • 긁적 2011/10/17 23:33 #

    해병대 : 아... 앙대!!!!
  • dunkbear 2011/10/18 09:27 #

    으헝헝...
  • Albion 2011/10/17 23:47 #

    자칫 잘못하면 전력약화로 끝날지도 모를 프로젝트인데 과연 그 뒷감당은 누가 총대를 매고 맡을지 기대되네요.
  • dunkbear 2011/10/18 09:28 #

    뒷감당이야 그 때 당선될 대통령부터 책임자들이 대신하겠죠. ㅋㅋㅋ
  • 누군가의친구 2011/10/18 00:18 #

    아메리카급, 카보르, 후안 카를로스 1세: 아... 앙대!!!!
    미 의회: 돼!
  • dunkbear 2011/10/18 09:28 #

    결론 : 모두 라팔 함재기를 구입합니다. (응?)
  • 존다리안 2011/10/18 08:02 #

    아메리카급은 덩치가 되니까 어떻게 된다 쳐도 카보르나 후안 카를로스 1세, 나아가 독도함이 걱정이군요.
  • dunkbear 2011/10/18 09:29 #

    독도함은 몰라도... 스페인이나 이탈리아는 좀 머리 아프겠죠.

    아메리카급이 나와도 당분간 워스프급을 운용해야 하는 미 해병대도 그렇겠고...
  • 가릉빈가 2011/10/18 08:32 #

    인간의 탈을 쓴 사람이라면 우려를 해야 겠죠?!
  • dunkbear 2011/10/18 09:29 #

    우리나라가 도입한다면 당근입니다... ㅜ.ㅜ
  • 데니스 2011/10/18 09:10 #

    안돼요!!! ㅜ ㅜ
    호주는 그럼 언제나...
    이젠 운용중인 F-18수퍼호넷도 슬슬 노후화가...
  • dunkbear 2011/10/18 09:30 #

    호넷이죠... 뭐. 그래서 내년까지 슈퍼 호넷의 추가 도입을 결정한다니까요.
  • 메이즈 2011/10/18 09:33 #

    어차피 보급형 스텔스 자체가 이전 사례가 전무한 발상이라 상당한 시행착오를 각오할 수밖에 없긴 했는데 시행착오를 감당하는 데 쓸 돈을 주기 어려울 정도의 경제난에 시달리는 현실이 문제죠.
  • dunkbear 2011/10/18 10:51 #

    경제난이 아니더라도 예산 부담이 컸었죠. 하물며 요즘이야... (ㅠ.ㅠ)
  • 레일리엔 2011/10/18 14:05 #

    포스트팬텀을 생각하며 시작한 웅대한 계획이고 나발이고 현실은 F-111(...)
  • KittyHawk 2011/10/18 15:56 #

    그래도 아드바크는 퍼포먼스 면에서 훌륭하기라도 했지요. 호주가 그냥 눈물을 질질 싼 게 아니었다는 생각이 듭니다. 전자전형인 레이븐 같은 경우엔 미 공군이 조기 퇴역을 반대하기도 했을 정도이니...
  • dunkbear 2011/10/18 23:20 #

    덧붙이자면 애드바크는 꽁무니에서 불꽃쑈라도 보여줬죠... 근데 F-35는... ㅡ.ㅡ;;;
  • 2011/10/18 19:44 # 비공개

    비공개 덧글입니다.
  • dunkbear 2011/10/18 23:21 #

    하도 관련 기사가 많아서 다 올리지도 못하는 기종이죠... OTL

    진짜 이 녀석은 끝까지 가봐야 알 것 같습니다...
※ 로그인 사용자만 덧글을 남길 수 있습니다.



호무호무한 검색

Loading

통계 위젯 (화이트)

535
314
5042514

2011 이글루스 TOP 100

2010 이글루스 TOP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