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ussian arms exporter loses $4 bln over Libya conflict (기사 링크)
RIA NOVOSTI 기사로, 지난 8월 17일에 러시아의 방산 수출을 전담하는 국영회사인 로소보론엑스
포르트 (Rosoboronexport) 측이 리비아 사태와 그 뒤를 이은 공습으로 총 40억 달러에 이르는 방
산 계약을 잃었다고 밝혔다는 내용입니다.

© RIA Novosti
로소보론엑스포르트사의 사장인 아나톨리 이사이킨 (Anatoly Isaikin)은 이 수치에는 리비아 사태
로 잃어버린 (방산 계약의) 기회와 그로 얻을 게 확실한 수익들을 포함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또한 국제 합의에 따라 러시아는 현재 어떤 무기도 리비아에 공급하지 않고 있음을 강조했습니다.
미-유럽의 리비아 공습에 반대해왔지만, 러시아도 리비아에 무기 공급계약을 모두 철회하면서, 리
비아에 대한 무기 금수조치에 참여해왔었습니다. 메드베데프 (Dmitry Medvedev) 러시아 대통령
은 지난 8월 19일에 리비아 공습을 승인한 국제연합 결의한을 지지한다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지난 3월에 러시아가 투표에서 기권한 국제연합의 결의안 1973은 리비아에 비행금지구역을 강제
하고 리비아 시민들을 보호하기 위한 "모든 필요한 조치 (all necessary measures)"들을 취할 것
을 승인하고 있습니다.

© AFP/ Marc Hofer
지난 2월에 카다피의 정권에 저항하는 시위가 발생한 이래, 수천명의 리비아인이 사망한 것으로
알려져 있죠. 국제연합의 결의안에 따라 미-유럽 국가들은 해군과 공군 전력을 투입시켜서 비행
금지구역 강제 및 카다피 군과 군시설에 대한 공습을 계속 해왔었습니다...
러시아 입장에서는 큰 시장을 잃은 셈이니 불만이 적지 않겠지만, 새로운 정부가 들어선다고 해도
러시아제 무기에 등을 돌릴 것으로 보이지는 않습니다. 카다피는 유럽제 (특히 프랑스)와 러시아
제 모두 선호(?)해왔으니까요. ㅎㅎㅎ
Chavez thanks Russia for arming Venezuelan military (기사 링크)
한편, 베네수엘라의 대통령인 우고 차베스 (Hugo Chavez, 아래 사진)는 자국 육군을 최신형 무
기로 무장시키고 업그레이드를 하도록 도와준 러시아에 감사를 표시했다고 합니다. 새로 도입한
러시아 무기를 베네수엘라 육군에 선보이는 행사에서 이런 내용을 연설했다고 하네요.

© AFP/ Juan Barreto
차베스 대통령은 러시아 '자매'에서, 러시아 연방에서 만들어진 이 무기들에 대해 드미트리 메드
베데프 러시아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Vladimir Putin) 총리에 감사하고 싶다고 언급했다고
합니다. ('sister Russia'라니... 무슨 러시아 모에화도 아니고... 표현도 참.... ㅡ.ㅡ;;;)
행사에 참석한 장군들에 따르면 베네수엘라군은 25대의 전차와 수백개의 다른 무기들을 인도받
았다고 합니다. 차베스 대통령은 이제 자국 내에 들어온 러시아제 무기들이 자국의 자주권을 수
호해줄 것이라면서, '러시아에 감사한다. 러시아에 박수를 보낸다'라고 언급했답니다.
2005-2007년 사이에 베네수엘라는 수호이 (Sukhoi) 전투기, 공격헬기 및 소총 등을 포함한 40억
달러 어치의 무기를 러시아로부터 사들인다는 합의에 이르렀다고 합니다. 차베스 정부는 지난
2010년에 T-72 전차와 S-300 대공미사일을 사기 위해 22억 달러의 차관을 확보하기도 했습니다.

© REUTERS/ HO
이보다 앞서 차베스 대통령은 자국이 보유한 외화를 러시아를 비롯한 동맹국들의 은행에 계속 맡
기는 계획을 확인했다고 합니다. 기사는 여기까지입니다. 차베스 횽아의 러시아 찬양은 둘째치고,
베네수엘라의 군사력 증강은 앞으로도 중남이 다른 국가들의 지갑을 열게 만들 것 같습니다...
사진 출처 - RIA NOVOSTI (링크)
RIA NOVOSTI 기사로, 지난 8월 17일에 러시아의 방산 수출을 전담하는 국영회사인 로소보론엑스
포르트 (Rosoboronexport) 측이 리비아 사태와 그 뒤를 이은 공습으로 총 40억 달러에 이르는 방
산 계약을 잃었다고 밝혔다는 내용입니다.

© RIA Novosti
로소보론엑스포르트사의 사장인 아나톨리 이사이킨 (Anatoly Isaikin)은 이 수치에는 리비아 사태
로 잃어버린 (방산 계약의) 기회와 그로 얻을 게 확실한 수익들을 포함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또한 국제 합의에 따라 러시아는 현재 어떤 무기도 리비아에 공급하지 않고 있음을 강조했습니다.
미-유럽의 리비아 공습에 반대해왔지만, 러시아도 리비아에 무기 공급계약을 모두 철회하면서, 리
비아에 대한 무기 금수조치에 참여해왔었습니다. 메드베데프 (Dmitry Medvedev) 러시아 대통령
은 지난 8월 19일에 리비아 공습을 승인한 국제연합 결의한을 지지한다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지난 3월에 러시아가 투표에서 기권한 국제연합의 결의안 1973은 리비아에 비행금지구역을 강제
하고 리비아 시민들을 보호하기 위한 "모든 필요한 조치 (all necessary measures)"들을 취할 것
을 승인하고 있습니다.

© AFP/ Marc Hofer
지난 2월에 카다피의 정권에 저항하는 시위가 발생한 이래, 수천명의 리비아인이 사망한 것으로
알려져 있죠. 국제연합의 결의안에 따라 미-유럽 국가들은 해군과 공군 전력을 투입시켜서 비행
금지구역 강제 및 카다피 군과 군시설에 대한 공습을 계속 해왔었습니다...
러시아 입장에서는 큰 시장을 잃은 셈이니 불만이 적지 않겠지만, 새로운 정부가 들어선다고 해도
러시아제 무기에 등을 돌릴 것으로 보이지는 않습니다. 카다피는 유럽제 (특히 프랑스)와 러시아
제 모두 선호(?)해왔으니까요. ㅎㅎㅎ
Chavez thanks Russia for arming Venezuelan military (기사 링크)
한편, 베네수엘라의 대통령인 우고 차베스 (Hugo Chavez, 아래 사진)는 자국 육군을 최신형 무
기로 무장시키고 업그레이드를 하도록 도와준 러시아에 감사를 표시했다고 합니다. 새로 도입한
러시아 무기를 베네수엘라 육군에 선보이는 행사에서 이런 내용을 연설했다고 하네요.

© AFP/ Juan Barreto
차베스 대통령은 러시아 '자매'에서, 러시아 연방에서 만들어진 이 무기들에 대해 드미트리 메드
베데프 러시아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Vladimir Putin) 총리에 감사하고 싶다고 언급했다고
합니다. ('sister Russia'라니... 무슨 러시아 모에화도 아니고... 표현도 참.... ㅡ.ㅡ;;;)
행사에 참석한 장군들에 따르면 베네수엘라군은 25대의 전차와 수백개의 다른 무기들을 인도받
았다고 합니다. 차베스 대통령은 이제 자국 내에 들어온 러시아제 무기들이 자국의 자주권을 수
호해줄 것이라면서, '러시아에 감사한다. 러시아에 박수를 보낸다'라고 언급했답니다.
2005-2007년 사이에 베네수엘라는 수호이 (Sukhoi) 전투기, 공격헬기 및 소총 등을 포함한 40억
달러 어치의 무기를 러시아로부터 사들인다는 합의에 이르렀다고 합니다. 차베스 정부는 지난
2010년에 T-72 전차와 S-300 대공미사일을 사기 위해 22억 달러의 차관을 확보하기도 했습니다.

© REUTERS/ HO
이보다 앞서 차베스 대통령은 자국이 보유한 외화를 러시아를 비롯한 동맹국들의 은행에 계속 맡
기는 계획을 확인했다고 합니다. 기사는 여기까지입니다. 차베스 횽아의 러시아 찬양은 둘째치고,
베네수엘라의 군사력 증강은 앞으로도 중남이 다른 국가들의 지갑을 열게 만들 것 같습니다...
사진 출처 - RIA NOVOSTI (링크)
덧글
아 근데 혹시 유로파이터 한국 라이센스 생산 이야기... 해외에 뭐 나온 거 있나요?
않고 3차 FX 사업에서 승산이 있을 거라고 생각했다면 유파 컨소시엄의 경영진들은 빙신들이죠.
일본은 완전한 현지 라이센스 생산을 추구하기 때문에 F-35가 이길 수 있다고 장담할 수 없
으니까요. 물론 스텔스가 미래라는 점 때문에 무조건 4-4.5세대 기종을 도입하기도 뭣하겠고...
우리나라나 일본 모두 애매한 상황이긴 합니다. 다만 우리나라 공군은 (얼마전 읽은 소식에
따르면) 벌써 F-35에 올인한 것 같아서 기분이 안좋지만요... 이글과 유파, 팍파를 동원해서
1차 FX 때처럼 낚시질을 해야하는 데 그것조차 안하는 듯한 기분이... ㅡ.ㅡ;;;
머리 민 다음에는 Dr. Evil 같습니다. ㅋㅋ 그럼 미국을 겨냥해 그 "크고 아름다운 것"도 만들고 있으려나..
어떤 이상이건 간에 밀고 나가려면 돈이 있어야 해요.. 석유라든가 석유라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