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antom Ray first flight raises funding hopes (기사 링크)
Flightglobal 기사로, 보잉 (Boeing)에서 개발 중인 스텔스 무인전투기 또는 UCAV (Unmanned Combat
Air Vehicle)인 팬텀 레이 (Phantom Ray)가 지난 4월 27일 초도비행에 성공하면서, 이 프로그램에 외부
투자를 끌어들이려 했지만 어려움을 겪어온 보잉의 노력에 중요한 계기가 마련되었다는 소식입니다.

© Boeing
캘리포니아주의 에드워즈 공군기지 (Edwards AFB)에서 이루어진 초도비행은 약 17분간 진행되었는데
X-45C를 기반으로 하는 펜텀 레이 무인기가 고도 7,500 피트 (2,290m)에 178 노트 (시속 330km)의 항속
에 도달하는 데는 충분한 시간이었다고 합니다.
보잉사는 오는 6월말까지 자체적으로 비용을 들여 10회에 이르는 팬텀 레이의 시험비행을 완료할 계획
이지만, 보잉사가 이 프로젝트에 지원하는 재정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팬텀 레이 프로그램은 계획보
다 더 빨리 날 것으로 보인다고 하네요.
2007년 중반 이래, 보잉사는 자체적으로 자금을 조달해서 팬텀 레이 프로그램을 시작했습니다. 2006년
에 합동무인전투기 또는 J-UCAS (Joint Unmanned Combat Air Systems) 프로그램이 취소되면서 표
류 중이던 X-45C 개념을 되살린 것이죠.

© Boeing
하지만 1년 뒤인 2008년에 미 해군의 항모운용 스텔스 무인전투기 실증 프로그램에서 보잉은 노스롭 그
루만 (Northrop Grumman)사의 X-47B에 패하고 맙니다. 이렇게 되면서 보잉은 점차 성장하고 있는 스
텔스 무인전투기 시장에서 기록상으로 공개된 관련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설상가상으로 록히드 마틴 (Lockheed Martin)사의 RQ-170 센티넬 (Sentinel)이 2009년 후반에 등장한
데다, 이 기종이 이미 미 공군에 의해 실전 배치되기까지 하면서 (최근 빈 라덴 사살 작전에 정찰기로 참
여했다는 소식도 있죠.) 무인전투기 시장에서의 보잉의 위치는 더욱 불안하게 되었습니다.
보잉사는 2010년에 팬텀 레이 실증기를 정식으로 공개했었습니다. 그리고 같은 해 12월 13일, 팬텀 레이
는 보잉 747 셔틀 수송기 상단에 탑재되어 에드워즈 기지까지 비행했었습니다. 활주 테스트는 지난 3월
30일에 완료되었지만, 계속되는 강풍으로 초도비행이 3주간 지연되었었다고 하네요.

© Boeing
"공식적"으로는 보잉 및 관련업체 관계자들만이 팬텀 레이의 초도비행을 지켜봤지만, 여러 잠재적인 고
객들도 이 비행을 가까이서 모니터링했다고 합니다. 그러나 팬텀 레이가 비행할 수 있다는 걸 증명하는
것은 보잉의 마케팅 전략의 핵심적인 테스트가 될 것이라고 합니다.
팬텀 레이의 초기 시험비행은 이제 이 무인기를 눈여겨보는 고객 커뮤니티 사이에서 흘러들어갈 것이라
면서, 보잉 측은 팬텀 레이에 대한 관심이 보다 더 진지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러나 팬텀
레이 프로그램은 다른 프로그램들의 시험기반 (testbed)로 생존할 가능성이 높다고 합니다.
왜냐하면 당분간 앞으로 지상에서 운용하는 신형 스텔스 무인전투기에 대한 새로운 요구가 없기 때문이
라고 하네요. 주익의 길이 15.24m (50 피트)에 동체 길이는 10.9m (36 피트)에 이르는 팬텀 레이는 보잉
의 여러 무인기 계획 중의 하나로 과연 이대로 사라질 지, 아니면 고객을 찾아낼 수 있을 지 궁금하네요.
Flightglobal 기사로, 보잉 (Boeing)에서 개발 중인 스텔스 무인전투기 또는 UCAV (Unmanned Combat
Air Vehicle)인 팬텀 레이 (Phantom Ray)가 지난 4월 27일 초도비행에 성공하면서, 이 프로그램에 외부
투자를 끌어들이려 했지만 어려움을 겪어온 보잉의 노력에 중요한 계기가 마련되었다는 소식입니다.

© Boeing
캘리포니아주의 에드워즈 공군기지 (Edwards AFB)에서 이루어진 초도비행은 약 17분간 진행되었는데
X-45C를 기반으로 하는 펜텀 레이 무인기가 고도 7,500 피트 (2,290m)에 178 노트 (시속 330km)의 항속
에 도달하는 데는 충분한 시간이었다고 합니다.
보잉사는 오는 6월말까지 자체적으로 비용을 들여 10회에 이르는 팬텀 레이의 시험비행을 완료할 계획
이지만, 보잉사가 이 프로젝트에 지원하는 재정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팬텀 레이 프로그램은 계획보
다 더 빨리 날 것으로 보인다고 하네요.
2007년 중반 이래, 보잉사는 자체적으로 자금을 조달해서 팬텀 레이 프로그램을 시작했습니다. 2006년
에 합동무인전투기 또는 J-UCAS (Joint Unmanned Combat Air Systems) 프로그램이 취소되면서 표
류 중이던 X-45C 개념을 되살린 것이죠.

© Boeing
하지만 1년 뒤인 2008년에 미 해군의 항모운용 스텔스 무인전투기 실증 프로그램에서 보잉은 노스롭 그
루만 (Northrop Grumman)사의 X-47B에 패하고 맙니다. 이렇게 되면서 보잉은 점차 성장하고 있는 스
텔스 무인전투기 시장에서 기록상으로 공개된 관련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설상가상으로 록히드 마틴 (Lockheed Martin)사의 RQ-170 센티넬 (Sentinel)이 2009년 후반에 등장한
데다, 이 기종이 이미 미 공군에 의해 실전 배치되기까지 하면서 (최근 빈 라덴 사살 작전에 정찰기로 참
여했다는 소식도 있죠.) 무인전투기 시장에서의 보잉의 위치는 더욱 불안하게 되었습니다.
보잉사는 2010년에 팬텀 레이 실증기를 정식으로 공개했었습니다. 그리고 같은 해 12월 13일, 팬텀 레이
는 보잉 747 셔틀 수송기 상단에 탑재되어 에드워즈 기지까지 비행했었습니다. 활주 테스트는 지난 3월
30일에 완료되었지만, 계속되는 강풍으로 초도비행이 3주간 지연되었었다고 하네요.

© Boeing
"공식적"으로는 보잉 및 관련업체 관계자들만이 팬텀 레이의 초도비행을 지켜봤지만, 여러 잠재적인 고
객들도 이 비행을 가까이서 모니터링했다고 합니다. 그러나 팬텀 레이가 비행할 수 있다는 걸 증명하는
것은 보잉의 마케팅 전략의 핵심적인 테스트가 될 것이라고 합니다.
팬텀 레이의 초기 시험비행은 이제 이 무인기를 눈여겨보는 고객 커뮤니티 사이에서 흘러들어갈 것이라
면서, 보잉 측은 팬텀 레이에 대한 관심이 보다 더 진지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러나 팬텀
레이 프로그램은 다른 프로그램들의 시험기반 (testbed)로 생존할 가능성이 높다고 합니다.
왜냐하면 당분간 앞으로 지상에서 운용하는 신형 스텔스 무인전투기에 대한 새로운 요구가 없기 때문이
라고 하네요. 주익의 길이 15.24m (50 피트)에 동체 길이는 10.9m (36 피트)에 이르는 팬텀 레이는 보잉
의 여러 무인기 계획 중의 하나로 과연 이대로 사라질 지, 아니면 고객을 찾아낼 수 있을 지 궁금하네요.
덧글
이깟 세상 다 망해버리라고 해...(읭? 뭔소리래...?)
그나마 아직은 미국 이외에 저런 기종을 가진 국가가 없다는 것에 안도해야 하나요...
팔릴지도요
어차피 한국 공군도 관심있을 겁니다
있는 보잉도 적극적인 이상...
워.. 근데 실전 배치될라면 그 만큼의 오류와 잔고장 등을 해결하고 나와야할텐데..
과연 이 전투기는 언제 실전 배치될지 궁굼하네요 ..ㅋ
그래서 영공 초계와 요격은 무인기로!
미정부의 재간택말고는 시망아닌가 싶은데, 수출도 가능하긴 한건가요?
하지만 말씀처럼 미 정부가 선택해주는 것이 훨씬 더 효과적인 마케팅 수단이긴 하죠.
상관없지만... 저런 무인기만 계속 나올 걸 생각하니... 흑흑...ㅠ.ㅠ
"이럴 때 쓰려고 만든 물건이야. 부상도 입지 않고, 비행 중 의식불명도 없으니까"
"저 물건이 자네 자리를 빼앗을까봐 두렵나? 장병들의 목숨을 위태롭게 하지 않고도 이길 방법이 있는데, 왜 그걸 써먹지 않겠다는 거지?"
"전쟁이 비디오게임으로 전락해서는 안되죠. 우리에게는 기계에게 없는 윤리 의식, 판단력 같은 능력이 있지 않습니까?"
어쩌면 무인무기의 등장을 둘러싼 논쟁이 다 함축되어 있는 듯합니다.
지난해 아프간에서 무장이라고는 개뿔도 없는 민간인들을 태운 버스와 승용차를
무인정찰기를 통해서 추적하고는 결국 무장집단이라고 결론 짓고 헬파이어로 날
려버린 미군의 행위를 생각하면... 차라리 기계가 낫지 않나 싶기도 합니다...
유인기 vs 무인기 대비를
칼 vs 총 으로 바꿔 놓으면 몇백 년 전에 어떤 두 사람이 했음 직한 대화가 될 것 같군요. ^^
직접 적의 심장을 찌르기까지 몇 번이고 생각이 개입되지만
저 멀리서 적의 얼굴을 보지도 못하고 방아쇠를 당기는 총병은 어떤 감정의 정리도 할 필요없이 기계적으로 움직일 뿐이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