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use block


도마 위에 오른 영국 공군의 타이푼 프로그램 군사와 컴퓨터

NAO report slams UK's Typhoon acquisition (기사 링크)

Flightglobal 기사로 영국 회계감사국 (National Audit Office, 또는 NAO)가 새로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영국 공군이 최근 감축한 유러파이터 타이푼 (Eurofighter Typhoon) 전투기 전력의 도입 및 퇴역할 때까
지의 운용 비용이 370억 파운드 (미화 602억 달러)에 달할 것이라는 소식입니다.


© 2011 Eurofighter Typhoon

또한 2018년까지는 타이푼 전투기가 영국 공군의 지상공격 임무를 수행할 최우선 선택이 되지 못할 것이
라고 이 보고서에서는 지적했다고 하네요. 지난 3월 2일에 발표된 이 보고서는 영국 정부의 지출을 감시하
는 회계감사국이 '타이푼 프로젝트의 관리'에 대한 개요 (overview)를 담고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이 보고서는 영국 국방성이 타이푼 프로그램에서 지나치게 낙관적이고, 나쁜 결정을 내린데다, 허
술한 비용 관리능력을 보여줬다고 비판하고 있다고 합니다. 영국 공군은 총 160대의 타이푼 전투기를 도
입하기로 했는데 지금까지 그 중 70대를 인도받은 상태라고 합니다.

원래 영국 공군은 232대의 타이푼을 도입할 예정이었지만, 영국 정부는 이미 이 중 24대를 사우디 아라비
아에 판매하기로 한 72대의 타이푼 중에 포함시키는 방식으로 삭감했고, 최종 도입분인 타이푼 트랑쉐 3B
(Tranche 3B) 48대 물량 발주도 취소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상태입니다.


© 2011 Eurofighter Typhoon

이렇게 기존에 계획했던 도입물량보다 30 퍼센트를 줄였지만, 영국 회계감사국은 영국 공군 타이푼 프로
그램에서의 총 개발 및 생산 비용이 원래 계획했던 것보다 20 퍼센트나 높은 202억 파운드에 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보고서에서 밝혔습니다.

다른 요소와 맞물려서, 회계감사국은 영국 공군이 도입하는 타이푼 전투기의 대당 가격 (unit cost)이 75
퍼센트까지 상승했다고 계산하고 있고, 타이푼 전투기의 지원에 들어가는 비용도 애당초 계산했던 수치
보다 1/3 이상 증가했다고 밝혔습니다.

반면 타이푼 전투기의 제조사인 유러파이터 컨소시엄은 4개국이 공동으로 운영하는 구조로 "복잡하고 비
효율적 (complex and inefficient)"이라고 보고서는 지적하고 있답니다. 또한 회계감사국은 조사결과, 핵
심적인 투자결정이 지나치게 낙관적인 전망을 토대로 이루졌고 타이푼 프로젝트 자체도 국방예산을 균형
있게 조절하기 위한 업체의 결정에 손해를 입었다고 언급하고 있습니다.


© 2011 Eurofighter Typhoon

그리고 영국 국방성도도 어떤 비용이 상승할 지를 실질적인 비율로 예상하지 못했다고 합니다. 이러한 일
련의 문제점들은 결국 제대로 된 비용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걸 의미하고, 비용 관리는 투자한 돈의
가치를 결정하는 핵심적 요소인만큼 투입된 예산이 제대로 운용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고 하네요.

이러한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영국 회계감사국 소속 감사관들의 분석 결과, 영국 국방성이 타이푼에 들이
는 예산은 타이푼과 유사한 종류의 군용기 (즉, 4세대 전투기)에 들어갈 것으로 예상되는 수준의 비용을
넘지 않는다는 걸 검증했다고 합니다.

현재 영국 공군이 운용 중인 타이푼 전투기들은 링컨셔 (Lincolnshire)에 위치한 코닝스비 (Coningsby)
기지, 스코틀랜드에 위치한 울하쉬 (Leuchars) 기지 및 포클랜드 제도의 기지에 배치되어 긴급출동 대기
조 (Quick Reaction Alert 또는 QRA), 즉 스크램블 임무를 위해 운용 중입니다.


© 2011 Eurofighter Typhoon

이렇게 영국 공군의 타이푼 전력은 여러 기지에서 방공임무를 수행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지만, 그 대
신 영국 공군이 타이푼을 지상공격 전력으로 운용하는 방안은 희생된 것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영국 회
계감사국의 지적처럼 향후 수년간 타이푼은 영국 공군의 지상공격 임무 기종이 되지는 못할 것으로 지적
했습니다. (영국 공군의 토네이도 전폭기가 감축의 칼날을 어느 정도 피한 게 이 때문인 것 같네요.)

지난 2009년, 영국 국방성은 비용절감을 위해 기존에 계획했던 새로운 타이푼 비행중대 창설을 늦췄고,
그 결과 2015-2016년까지 7년 이상 요구되는 타이푼 전투기 비행시간을 총 21,000 시간으로 줄이게 되었
다고 영국 회계감사원은 지적하고 있습니다.

타이푼이 방공임무에 주력하게 된 것과 비행시간을 줄이는 등의 이유로 영국 국방성은 현재 타이푼 전투
기의 현재 주력 임무인 방공 임무에 초점을 맞춰서 타이푼 조종사들의 훈련을 실시하고 있다고 합니다.
근데 비행시간의 축소에도 불구하고 기대했던 부품공급이 부족해지면서 2009-2010년 기간 동안 타이푼
전투기기가 계획했던 비행임무의 횟수가 13 퍼센트 줄어들었다고 합니다.


© 2011 Eurofighter Typhoon

특히 포클랜드 제도에 배치된 기체들의 경우, 몇몇 부품은 다른 기지에 배치된 같은 기종의 기체들로부터
가져와야 하는, 즉 소위 말하는 동류전환을 통해서 유지되고 있다고 합니다. (이건 정말 눈물 나네요. 물
론 포클랜드 제도의 특성상 전투기 운용이 중요하다지만, 동류전환까지 해야한다니... ㅠ.ㅠ)

한편, 영국 회계감사국은 2019년까지 53대의 타이푼 트랑쉐 1 전투기들을 퇴역시키는 계획으로, 영국 공
군의 타이푼 전력이 감축되는 것에 대해 우려를 표시했다고 합니다. 남아있게 될 타이푼 전투기들은 아직
몇대 도입할 지 결정나지 않은 록히드 마틴 (Lockheed Martin)사의 F-35C JSF (Joint Strike Fighter) 전
투기들과 함께 운용될 예정이죠.

근데 회계감사국 보고서에 따르면, 영국 국방성이 107대로 줄어들게 될 타이푼 전투기의 전력규모가 규정
된 전력 수준에 맞지 않아 부족현상을 일으킬 수 있는 위험을 인정했다고 합니다. 예전에도 지적된 것처럼
지나친 감축은 오히려 역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의미라고 봐야겠습니다.


© 2011 Eurofighter Typhoon

영국 회계감사국의 보고서나 그 결정이 강제력이 있는 것은 아닌 것으로 알기 때문에, 앞서 언급한 내용들
이 영국 국방성과 영국 공군의 타이푼 전투기 운용에 영향을 미칠 지는 알 수 없지만, 비용 절감과 군사력
유지라는 두가지 목적 사이에서 줄타기를 하는 영국 정부로서는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지 않나 생각합니다.


사진 출처 - 유러파이터 타이푼 홈페이지 (링크)



덧글

  • 뚱띠이 2011/03/03 10:48 #

    오늘도 두들겨 맞는 영국의 군부군요....

    두들겨 맞을 이유가 있어서 두들겨 맞는 것이겠지만, 저 정도면 불쌍할 지경입니다.
  • dunkbear 2011/03/03 11:05 #

    그저 눈물만 흘릴 따름이죠... ㅠ.ㅠ
  • 위장효과 2011/03/03 11:06 #

    영국군 관련 역사를 다시 들여다보고 싶을 정도입니다. 역사상 영국군이 저렇게 이리저리 까인 적이 또 있을런지...

    (생각해보니...한참 건달,술주정뱅이,사회부적응자들의 집합소로 불리던 시절의 영국군이라면 저정도로 까였겠군요.)
  • StarSeeker 2011/03/03 11:34 #

    전간기 당시 해군전력이 폭풍 감축 당한적이 있지요... 구식전함들을 죄다 퇴역 시켜으니요. (그래도 1위 해먹었으니...OTL)

    2차대전 이후에도, 모든 전함들을 퇴역시키고, 영국이 자랑하는 함대형 장갑항모들도 전원 퇴역...(그래도 2위 해먹었네요.-_-)
  • dunkbear 2011/03/03 11:35 #

    2차 대전 이후는 사실 억울하죠... 천조국 때문에 다른 국가들은 모두 하챃게 보였을테니.... ㅎㅎㅎ
  • BigTrain 2011/03/03 13:42 #

    정규항모 아크로열 퇴역시키고 인빈시블급 들여오기 전, 수에즈 동부지역 포기하면서 동남아지역 주둔군들 다 해체시켰던 때에는 지금보다 더 암울했다고 들은 것 같기는 한데 ㅡㅜ
  • KittyHawk 2011/03/03 11:09 #

    토네이도보다 안습한 처지까지 갈지 모르는 유파...

    토네이도는 처음부터 멀티롤은 아니었지만, 공대공, 공대지, 전자전 용도로 호평 받았건만

    공동개발로 개발한 공통점을 가졌다는 유파는 비참하게 삐걱거리니...

    그 때문인지 F-15가 스트라이크 이글의 노선을 밟은 것처럼 토네이도도 비슷한 과정을 거치

    는 형태로 강화형 개발과 신규생산으로 향했다면 어땠을까 싶어지더군요. 요구 조건이 지나쳐

    전량 주방위군으로 돌렸다지만 유럽제인 롤랜드 지대공 미사일 체계를 구입한 전력이 있는

    미군이니만큼 절묘하게 타이밍이 맞아 떨어져 토네이도 강화형이 한창 만들어지고 있는 상황에

    기계적 수명문제도 겹쳐 아드바크/레이븐 퇴역을 결정할 수밖에 없었을 미 공군에 제안하는 상황이

    벌어졌었다면...
  • dunkbear 2011/03/03 11:36 #

    F-35나 유파 모두 공동개발의 위험성(?)을 알리는 타산지석이 될 것 같은 느낌입니다...

    문제는 그 역사가 또 반복될 지도 모른다는 것.... ㅠ.ㅠ
  • 누군가의친구 2011/03/03 14:31 #

    영국이 말합니다.

    "감축과 퇴역이다! 그지 깽깽이들아!"

    ...
  • dunkbear 2011/03/03 17:34 #

    으헝헝.... ㅠ.ㅠ
  • 루드라 2011/03/03 15:48 #

    영국 국방성이 타이푼 프로그램에서 지나치게 낙관적이고, 나쁜 결정을 내린데다, 허술한 비용 관리능력을 보여줬다는 회계감사국의 지적에는 100% 동의합니다. 프로그램 개발 도중에 냉전해체라는 세기적 사건을 예상 못했다는 거야 그렇다치더라도 저런 다국적 프로그램은 자칫하면 배가 산으로 가게 돼 버리는데 많은 경험으로 그런 부분은 충분히 감안했어야 하는데 좀 소홀하고 지나치게 낙관적이었다고 봅니다.

    근데 독일 놈들이야 그렇다치더라도 패션의 나라라는 이탈리아 놈들도 같이 일해놓고 어떻게 저런 시각공해급 디자인이 나온 건지 지금도 궁금하네요.
  • dunkbear 2011/03/03 17:34 #

    저는 타이푼 디자인 괜찮던데... ㅎㅎㅎ
  • 곰돌군 2011/03/03 16:07 #

    전투 병기라는 게 원래 멋보다는 실용이라지만.. 시각공해라는 루드라님 말씀에 적극 동의합니다..(...)

    솔까말 토네이도만 해도 상당히 멋지다고 생각하는데 이건..-_-;; 저 흡기 구조는 생긴것 자체가 재앙임.
  • dunkbear 2011/03/03 17:35 #

    저만 타이푼 디자인이 괜찮다고 느낀 것이었군요... ㅠ.ㅠ
  • 마루 2011/03/03 16:41 #

    에휴... 저 돈덩어리...
    유지비가 괴물이니 어떻게 버팁니까.
    그저 사우디의 오일의 힘이 부러울 뿐이지요.
  • dunkbear 2011/03/03 17:35 #

    그 사우디에도 엄청난 뇌물을 뿌려서 겨우 팔았던 것 아니겠습니까.... ㅎㄷㄷ;;;
  • 호넷이글 2011/03/03 18:36 #

    정작 아랍국가들은 영국이 망했구나!! 앙키세끼들 죽어라 !! 예들아 오늘 회식이다!! 이런 반응이 나올듯 한데요 중동전쟁에서 얻어맞인게 만아서,, 게다가 최근 다문화 잘못하다가 아랍인들이 유럽에 대량이주 하고 유럽이 점점 무슬림국가로 변해가고 있는데 먼 미래는 유럽에서 백인? 그거 먹는거임?,, 이런 시나리오도 있다죠,, 전통이 무너지고 혈통도 무너지고,,,
  • KittyHawk 2011/03/03 19:12 #

    유럽인들이 무슬림을 의혹어린 눈길로 보는 것도 한편으론 이해가 되더군요. 미국이야 끄떡 없다지만(그리로 가는 이민자들은 주류 사회에 까불면 안 된다는 걸 거의 본능으로 체감한 듯 하고...) 한국이 요 근래 외치는 다문화주의가 과연 환영할만한 정책인지는 의문입니다.
  • dunkbear 2011/03/03 19:17 #

    그래봐야 아직은 소수고... 유럽이 무슬림화 될 지 무슬림들이 유럽화 될 지는 두고봐야 할 것 같습니다... ^^;;;
  • 호넷이글 2011/03/03 19:39 #

    미국의 다문화는 성공 했다고 보기엔 어렵습니다,, 백인계 주류사회와 아직 통제가 강력하다고 하나 최근 히스패닉(남미계 미국인)들의 반이민법도 제대로 실천 못하는 실정입니다,, 게다가 이들을 내쫗으면 당장 노동력 부족으로 미국의 경제적 타격으로 이어지요,, 특히 히스패닉과 맥시코계들은 반미적이고 특히 텍사스와 켈리포니아를(역사적으로 빼았긴 땅으로 여기고)자신들의 땅이라고 과시 하는 행동도 보이고 있고요,,게다가 이들의 출산율은 거의 상상츠 초월합니다 600만명밖에 안되었던 이들은 몇십년이 지난 지금 지금 6천만명 이르고 있습니다,, 또 몇년후면 백인을 제치고 미국의 제1위 민족이 되고요,, 이건 유럽또한 마찬가지로,, 2020~50년 이되면 무슬림들이 유럽인구의 10%를 차지하게 될거고 만약 터키의 eu 가입시에는 더욱 날개피면서 무한상승까지 이어질수도 있습니다.
  • 내모선장 2011/03/04 19:48 #

    이원복 교수의 현대문명비판이란 만화에서는 과거의 미국이 "인종의 용광로" 였다면 현재의 미국은 "인종의 샌드위치"가 됐다고 하더군요. 미 서부 지역들은 이미 히스패닉이 흑인 인구 넘어선 지 오랩니다. 그 덕에 공무직에서 일하려면 스페인어 모르면 안 된다고 하더군요. 지금은 서부나 그러고 있지만 이게 전역으로 퍼질 경우는 이래저래 잠잠해진 흑인에 비해서 더 큰 폭탄이 될 듯 합니다. 현재 미국이 여유있는 상황도 아니고 하니...
  • MK-10 2011/03/05 01:22 #

    세상이 뒤섞이는 것이니까요. 어차피 부를 축적한 사람들은 애도 적게 낳고, 인력이 달리고, 가난한 사람들을 수입하고, 가난했던 사람들이 주류가 되고, 국가가 바뀌는 것이니까요.
    한국의 주류라는 한민족이라는 개념도 통일된 조선시대 이전에는 존재했었을지도 의문스러운 것이니까요.

    개인적으로는, 원래 자기 영역에 남이 들어오는 것을 싫어하는 인간의 본성에서 기인한다고 봅니다.
  • 아이지스 2011/03/03 22:33 #

    유지비가 말도 안되게 비싸다는 소식을 들었는데 이것도 같은 맥락인가 보네요
  • dunkbear 2011/03/03 23:03 #

    그렇게 보입니다. 특히 영국 국방성이 프로그램에 들어가는
    비용도 제대로 제어 못한 것 같아서 더욱 돈이 많이 든 것 같구요.
  • 한스 2011/03/03 22:58 #

    감축하는것도 서러운데 이젠 까이기 까지...ㅠㅠ
  • dunkbear 2011/03/03 23:03 #

    타이푼짱이 어쩌다가 이렇게 되었을까요... 으헝헝.... ㅠ.ㅠ
  • 공청석유 2011/03/04 12:24 #

    그저..F16이 최고!!!..ㅋㅋ
  • dunkbear 2011/03/04 12:47 #

    결론은 그런 것 입니까!!!!
  • KittyHawk 2011/03/04 13:13 #

    지금 KFX라던지 FX라던지 참 갈팡질팡인 한국 공군으로선 어차피 돈을 쓸 거라면 F-16C/D, KF-16 전 기체들을 XL처럼 더블델타익으로 교체한다던지 대규모 개조공사도 후보 사업으로 둬야 하지 않나 싶더군요. 현재 레이더 피탐성 강화를 위한 무장 포드 등이 제안되는 상황이기도 하니 KF-16을 20~30년 더 쓸 수밖에 없다면 XL화도 진지하게 생각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 dunkbear 2011/03/04 13:35 #

    XL화는 기대도 안하니 그냥 AESA 레이더 등 장비 개량과 수명연장만 해줘도 감지덕지하겠습니다. ㅠ.ㅠ
  • 내모선장 2011/03/04 18:13 #

    "반면 타이푼 전투기의 제조사인 유러파이터 컨소시엄은 4개국이 공동으로 운영하는 구조로 "복잡하고 비효율적 (complex and inefficient)"이라고 보고서는 지적하고 있답니다. 또한 회계감사국은 조사결과, 핵심적인 투자결정이 지나치게 낙관적인 전망을 토대로 이루졌고 타이푼 프로젝트 자체도 국방예산을 균형있게 조절하기 위한 업체의 결정에 손해를 입었다고 언급하고 있습니다."

    -> 컨소시엄에서 운영을 공동으로 안 할 경우라면 1개 국가에서 아주 주도적으로 진행하지 않으면 안되는데 대체 뭘 어쩌란건지...
    거기다 투자결정이 지나치게 낙관적이었다고 보긴 좀 뭐한게, 개발 자체가 진행이 늦은 면은 있었다고 해도 그다지 나쁜 건 아니었다 보거든요. 단지 외부 환경이 너무 나쁘게 변했다는 게 문제겠죠.(이번 금융위기 건. 그러고보니 우리나라 F-X 진행중에 IMF터진 거랑 같은 꼴이네요)

    "이렇게 영국 공군의 타이푼 전력은 여러 기지에서 방공임무를 수행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지만, 그 대신 영국 공군이 타이푼을 지상공격 전력으로 운용하는 방안은 희생된 것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영국 회계감사국의 지적처럼 향후 수년간 타이푼은 영국 공군의 지상공격 임무 기종이 되지는 못할 것으로 지적했습니다."

    -> 저런식이면 기존 트랑쉐 1~2 중 대부분을 중고(엔간하면 떨이)로 내놓고 2 남은 거 개량 + 3 이후 기종으로 유파 비행단을 꾸리고 3B도입량을 늘이면서 토네이도 전량 퇴역 단계를 밟았다면 괜찮았을 듯 하네요. 유지비가 비싸다곤 해도 토네이도와 유파는 비교불가니. 시기는 아무래도 3B가 도입될 시점부터 실행해야 하겠지만.(현재 방안도 타이푼 기종의 전력약화 문제가 있다니까요)

    현재 유파가 도입된 지 얼마나 됐는지는 자세히 모르겠지만, 훈련시간 등으로 인한 부품들의 소모비율 등이 아직 완전히는 정립되지 않았나 봅니다. 카니발이라니... 에효.
  • dunkbear 2011/03/04 19:02 #

    - 결과론적으로 안좋았다는 의미인 것 같습니다... 특히 요즘 경제상황에서는 말이죠...

    - 3B 도입은 이미 물건너 간게 아닌가 싶어요. 3B 자체를 도입할 경제적 여력이 없는 마
    당이니 뭐... 말씀처럼 토네이도와 유파는 비교불가라고 하지만 돈이 없으니 어쩌겠습니까...

    - 카니발은 뭐... 다른 국가도 아니고 영국에서 벌어지니 그저 기가 막힐 뿐... ㅠ.ㅠ
※ 로그인 사용자만 덧글을 남길 수 있습니다.



호무호무한 검색

Loading

통계 위젯 (화이트)

435
314
5042513

2011 이글루스 TOP 100

2010 이글루스 TOP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