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use block


항모형 타이푼 전투기를 인도에 제시하는 유러파이터 군사와 컴퓨터

Eurofighter reveals offer to produce navalised Typhoon (기사 링크)

Flightglobal 기사로 유러파이터 (Eurofighter) 컨소시엄이 인도 측에 인도 해군이 미래에 운용하게 될
항공모함에 운용될 항모형 타이푼 전투기를 도입할 기회를 제공한다는 소식입니다. 현재 열리는 중인
Aero India 2011 에어쇼에서 처음으로 항모형 타이푼 제안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이 나온다고 하네요.


© LIVEFIST

타이푼 전투기는 인도의 다목적 전투기 사업인 MMRCA (Medium Multi-Role Combat Aircraft)에 입
찰한 6개 기종 중 하나로, 유러파이터 컨소시엄은 타이푼 항모형 모델의 잠재성이 영국에서 이미 정밀
하게 연구 중인 점을 이번 에어쇼에서 장점으로 내세우고 있다고 합니다.

BAE 시스템스 (BAE Systems)의 인도 사업개발부 부사장인 폴 홉킨스 (Paul Hopkins)는 만약 타이
푼 전투기가 MMRCA 사업에서 채택된다면 인도는 타이푼의 항모형 모델을 개발하기 위한 자체적인
기술을 가지게 될 것이라고 하면서, 육상과 항모에서 모두 운용이 가능한 기체를 자국에 도입할 수 있
는 절호의 기회라고 덧붙였습니다.

이번 주에 처음으로 모델의 형태로 선보인 타이푼 항모형은 해상에서 운용할 수 있도록 몇몇 새로운
기능들을 추가받게 될 것이라고 합니다. 이 중에는 새롭고 더 강한 랜딩기어, 개량된 어레스터 후크
(arrestor hook), 2대의 유로젯 (Eurojet) EJ200 엔진에 추력-방향 제어 (thrust-vectoring control, 또
는 TVC))가 가능한 노즐의 채택이 포함되어 있다고 합니다.

특히 TVC 노즐은 늘어난 받음각 (angle of attack)에 의해 조종사의 시야를 제한하지 않고 전투기가
줄어든 숙도로 항모로 접근할 수 있게 해줄 것이라고 하네요. 유러파이터 측은 랜딩기어 및 EJ200 엔
진 부근의 몇몇 동체부분만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하고 있습니다. 또한 항속거리를 늘리기 위해
전투기 동체에 컨포멀 연료탱크 (Conformal fuel tank)가 통합될 것이라고 합니다.


© LIVEFIST

유러파이터 컨소시엄과 BAE 부스에서 보여준 동영상은 항모운용에 맞춰진 비행제어 소프트웨어 및
새로운 엔진 모델링을 이용해서 최근에 시뮬레이션을 기반으로 만든 테스트 이미지와 인도 해군 마킹
을 가진 항모형 타이푼이 현재 인도가 발주해서 개장 중인 고르쉬코프 제독 (Admiral Gorshkov)호와
유사한 비행갑판에서 이륙하는 이미지가 포함되어 있다고 합니다.

그 외에 인도에서 응용가능한 새로운 무장 옵션이 처음으로 타이푼의 1:1 모델과 함께 전시 중이라고
합니다. 사브 (Saab) 및 디엘 (Diehl)과의 협력을 통해서 유러파이터 컨소시엄은 RBS15 대함미사일
을 타이푼 전투기의 향후 무장시스템으로 제안하고 있다고 합니다.

유러파이터 컨소시엄은 또한 타이푼에 들어갈 능동주사형 레이더 또는 AESA 레이더를 포함한 여러
기술을 전시하고 있고, 타이푼에서 쓰일 목적으로 BAE사에서 개발한 스마트 헬멧 디스플레이 시스템
(smart helmet display system)의 시연도 제공하고 있다고 합니다.

타이푼의 항모형 모델은 저는 처음 접하는 정보인데, 찾아보니 1999년부터 이 모델이 제안되었고, 지
난 2005년 즈음에도 F-35 플랫폼을 놓고 미국과 영국의 의견 차이로 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다고 하더
군요. 흥미로운 건 지난 영국 국방예산 삭감 논의에서 F-35B 대신 슈퍼 호넷 (Super Horent)은 거론되
었지만 정작 타이푼에 대한 언급은 찾기 힘들었다는 것...


© LIVEFIST

아무튼 유러파이터 컨소시엄이 위에 언급한 조건을 인도 측에 이행한다면, 인도에 있어서는 가장 괜
찮은 제안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러시아제 MiG-29K 플랫폼이 나쁘다고 할 수는 없지만, 그래
도 타이푼에 비하겠습니까... 흠.


사진 출처 - LiveFist (링크)



핑백

  • StarSeeker's : 씨 그리펜 VS 씨 타이푼 2011-02-10 23:25:43 #

    ... 예 전무하고, 유로 파이터사의 경우에는 그래도 그 구성원인 BAe와 그 전신을 본다면야, 만들어 본 경험이 있긴한데 말이죠.일단 타이푼의 경우에는 덩크베어님 블로그에 의하면 TVC장착과 컨포멀 탱크를 장착한다고 하는군요. 기골과 어레스팅후크 랜딩기어의 강화도 이루어질테고... 한편 EJ200엔진의 출력 ... more

  • 내모선장의 잡다한 홈 : 인도 및 중국의 항모 도입 여부에서 주시해야 할 점들 2011-02-14 11:56:00 #

    ... 항모형 타이푼 전투기를 인도에 제시하는 유러파이터에서 트랙백(이라고 하긴 좀 애매...) 겸 위장효과님 답글에 대한 내 나름대로의 생각.(경어체는 생략하겠음) 1. 모형 보니 드는 생각.&nbs ... more

덧글

  • 존다리안 2011/02/10 08:50 #

    함재형 유파라.... 인도라면 Su-30도 괜찮을 텐데....
  • dunkbear 2011/02/10 09:02 #

    Su-33 말씀이시군요. 저도 그 쪽으로 갈 줄 알았는데 MiG-29K로 가더군요. 흠.
  • 네비아찌 2011/02/10 11:03 #

    항모 크기가 Su-27 계열을 날리기에는 좀 작으니까요.
  • 무명병사 2011/02/10 09:03 #

    날아라! 타이푼! ...이걸로 (팔리던 안 팔리던지) 라팔의 입지는 더더욱.. --;;
  • dunkbear 2011/02/10 09:05 #

    라팔은 이번 에어로 인디아에서 처음 실물을 선보였다던데... 과연....
  • 위장효과 2011/02/10 09:11 #

    해군형 태풍이라...그러면서 하는 김에 로열 네이비의 차세대 항모 함재기 자리도 노려보고...(꿈도 크셔라.)
    밑의 그래픽 보니까 애드미럴 고르시코프-이게 인도 함명이 비크라마디티야가 될 예정인가요-가 애드미럴 쿠즈네초프의 단점을 더 극대화시켜놨군요. 저렇게 함교가 크면, 수직착함방식도 아닌 어레스트 와이어를 이용한 착함 방식에서는 항모에 접근할때마다 조종사들 손에 땀이 더 날 거 같은데...(시각적으로도 그렇고, 난기류의 문제도 그렇고, 착함 라인자체도 좁아질 거 같고)
  • dunkbear 2011/02/10 09:45 #

    고르쉬코프보다는 그 이후 나올 (인도가 자체개발한) 항모에 제안하는 것이라서... 과연 어떨지...
  • harpoon 2011/02/10 09:31 #

    추력변환노즐에 CFT까지..... 상당히 매력적이군요 ^^
  • dunkbear 2011/02/10 09:46 #

    일단 제안 자체는 꽤 괜찮은 것 같습니다. 실제는 어떨 지 몰라도...
  • 네비아찌 2011/02/10 11:04 #

    이걸 만약 인도가 사준다면 영국 해군에서도 F-35C 꺼져! 할수 있는 걸까요?
  • dunkbear 2011/02/10 14:10 #

    가능성이 없는 건 아니겠지만서도... 이상하게 F-35C로 대체하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았을 당시 사일런트 호넷과 함께 언급이 되지 않은 게 좀 의아합니다... 슈퍼 호넷
    보다는 타이푼이 장점도 많았을 지도 모를텐데 말이죠.
  • lunic 2011/02/10 11:43 #

    아, 컨포멀;;; 돼지태풍이라니...
  • dunkbear 2011/02/10 14:11 #

    슈퍼 타이푼의 등장이죠. ㅎㅎㅎ
  • wasp 2011/02/10 11:57 #

    항모용 타이푼이라... 프랑스가 유파계발중 탈퇴한 이유가 자기네 항모에 쓸 전투기가 필요하다는 이유였다는걸 생각하면 이번 기사는 꽤 아이러니 하네요
  • StarSeeker 2011/02/10 12:43 #

    실제로 영국에서는 CVF계획에서 3가지 안을 만들면서, 스키점프를 이용하고, 수직착함을 하는 F-35B와 전통적인 방식의 F-35C안 그리고 스키점프대를 이용하여 이함하고, 어레스팅후크를 이용하여 단거리 착함을 하는 타이푼 안도 있었습니다.

    문제는 별도로 전투기를 개량해야 하고, 공군의 해리어 대체까지 묶어야 하기 때문에 F-35B안을 선택했고, 얼마전에 다시 F-35C로 바뀌었지요.

    프랑스가 하는 말은 그냥 개발의 주도권을 차지하기 위한 핑계일뿐입니다.
  • 무펜 2011/02/10 12:55 #

    핑계죠. 지분특히 엔진을 자국 조루크마 써야된다고 땡깡부리다 끝...
  • dunkbear 2011/02/10 14:11 #

    다른 분들 말씀처럼 자기들이 엔진 만들어야 한다고 떼쓰다가 결국 나간 겁니다.

    그 결과는...

    라팔아
    팔렸니
    아니오....
  • StarSeeker 2011/02/10 12:39 #

    스웨덴은 인도와 브라질에게 씨 그리펜을 권했다고 하던데, 씨 타이푼도 나왔군요.
  • dunkbear 2011/02/10 14:12 #

    네. 유러파이터 컨소시엄도 인도 해군의 수요를 의식한 것 같습니다. ㅎㅎㅎ
  • 천하귀남 2011/02/10 13:55 #

    나중에 인도의 발리우드에서 에어리어88실사판 찍어도 기종 모자랄일은 없겠군요. ^^;
  • dunkbear 2011/02/10 14:12 #

    다만 MiG-21과 MiG-27이 은퇴하기 전에 찍어야 할 것 같습니다. ^^
  • 마루 2011/02/10 14:05 #

    항모형 타이푼은 확실히 매력적으로 보입니다.
    그런데 인도는 이미 MIG-29K를...

  • dunkbear 2011/02/10 14:13 #

    아직 모르죠... 고르쉬코프 제독호를 개량한 항모는 MiG-29K를 써야겠지만...
    그 이후 인도가 자체적으로 내놓을 항모에서도 같은 기종을 쓴다는 법은 없으니까요.
  • 가릉빈가 2011/02/10 14:16 #

    그래도 비싸고 F-18만 못하다는게...
  • dunkbear 2011/02/10 14:22 #

    하지만 성능만 가지고 파는 건 아니라서... 인도는 기술 이전도 노리고 있으니...
  • 계란소년 2011/02/10 14:56 #

    실제로 만들어지기나 할까...?
  • dunkbear 2011/02/10 17:48 #

    인도가 채택하지 않는 이상은... 그럴 가능성이 별로 없어 보입니다.
  • KittyHawk 2011/02/10 16:23 #

    저 함재형 타이푼 꽤 오래전부터 거론되던 걸로 아는데 인도가 도입을 결정하면 향후 잠재적인 함재기

    시장의 흐름이 재미있게 흐를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 dunkbear 2011/02/10 17:48 #

    그렇긴 하네요. 함재기 = 슈퍼 호넷 공식이 깨질테니...
  • KittyHawk 2011/02/10 18:24 #

    정말 그리 되면 라팔 함재형은 양강 구도 때문에 쳐주지도 말아야 하는 걸까요? :)

    프랑스 참 안쓰럽습니다. 자국 해군 조차도 달가워 않은 걸 강요했건만 그 결과는...(문제는 이걸 한국이 따라하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 때가...)
  • dunkbear 2011/02/10 19:45 #

    라팔은 공군 모델도 안팔리는 마당에... 해군형이 팔릴 가능성은... 뭐.... ^^;;;
  • 쿠루니르 2011/02/10 22:09 #

    함재형 유로파이터라......... 라팔은 그저 꺼이꺼이
  • dunkbear 2011/02/10 22:48 #

    있어도 안 팔리는 라팔.... ㅠ.ㅠ
  • 누군가의친구 2011/02/11 01:19 #

    유로파이터의 함재기 모델이라니...
    만약 팔리면, 영국에도 퀸 엘리자베스급 항모로 제안하는거 아닐지 모르겠습니다.(물론 F-35가 제때 나오면 모르겠습니다만...)
  • dunkbear 2011/02/11 07:49 #

    가능한 시나리오죠. 공군의 타이푼과 공통성이 높으면 더욱 좋을테구요.
  • 루드라 2011/02/11 08:39 #

    전투기에 뭔가 새로운 장치를 추가하는 건 자동차에 옵션 하나 추가하는 것과는 전혀 다르죠. 개발도중 어떤 장애를 만나게 될지는 그 누구도 모르는데다 설사 별 문제없이 개발된다고 해도 인도가 개발비용을 거의 대부분 부담해야 할테니 메리트가 없어보이는군요.

    지금까지 항모용으로 무미익 델타익기가 개발된 건 라팔이 처음인데다 개발국들 중에 그나마 항모국이라 할 수 있는 나라라고 해도 전부 해리어용의 경항모 운용국들 뿐이네요. 저거 사는 위험을 감수하느니 이미 검증된 슈퍼호넷 구입하는게 17만배쯤 나아보입니다.
  • dunkbear 2011/02/11 08:47 #

    인도가 개발 비용을 댄다고 해도 그만큼 얻는 게 있다면 기꺼이 댈 것 같기도 합니다만...

    문제는 검증되지 않았다는 게... 지금 도입한다면 슈퍼 호넷이겠죠. 다만 슈퍼 호넷이 덩
    치가 꽤 커서... (MMRCA 사업에 참여한 기종 중 가장 큰 덩치랍니다. ^^)
  • 내모선장 2011/02/11 15:53 #

    덩크베어님과 위장효과님 글에 대해서 트랙백했습니다. 이번 건 글이 꽤 길어질 것 같아서요. 근데 글 구상은 다 했는데 너무 길다보니 언제 다 작성될지는... 어찌됐던 기대는 해주삼. ㅎㅎ
  • dunkbear 2011/02/11 17:55 #

    기다리고 있겠습니다. ㅎㅎㅎ
  • 내모선장 2011/02/14 12:13 #

    트랙백 보내기 눌러서 글 작성은 했는데 어째 핑백으로 가버리네요? 이거 html에서 직접 태그 수정을 해야하는건가... 어찌됐던 작성은 끝났으니 함 봐주세요. ^^
  • dunkbear 2011/02/14 18:25 #

    잘 읽었습니다. 나중에 내모선장님께서 언급하신 내용과 관련된 소식 하나 올릴 것 같습니다. ^^
※ 로그인 사용자만 덧글을 남길 수 있습니다.



호무호무한 검색

Loading

통계 위젯 (화이트)

435
314
5042513

2011 이글루스 TOP 100

2010 이글루스 TOP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