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eing gets US Army green light for Apache Block IIIs (기사 링크)
Flightglobal 기사로 미 육군이 보잉에게 AH-64D 아파치 (Apache) 블록 III의 저율초기생산 (Low Rate
Initial Production, 이하 LRIP) 계약을 줬다는 소식입니다. 지난 10월 22일에 2억4천7백만 달러의 규모로
체결된 이번 계약은 제1 그룹 (Lot 1) 구성으로 8대의 아파치 블록 III를 생산하는 내용이라고 합니다.

© U.S. Army
이번 계약은 지난 10월 7일, 미 국방부가 서명한 획득 결정 각서 (Acquisition Decision Memorandum,
이하 ADM)에 따른 것으로 이 각서는 아파치 프로그램에서 총 51대의 기체를 생산하는 LRIP 단계를 승
인하는 것이라고 하네요.
이번에 발주된 아파치 블록 III 공격헬기들은 미 애리조나주 메사 (Mesa)에 위치한 보잉 시설에서 조립
및 테스트 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보잉 측에 따르면 미 육군은 총 690대의 아파치 블록 III 공격헬기들을
도입한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고 합니다.
얼마 전에 전했던 소식에서 사우디 아라비아가 새로 도입하기로 한 150대의 신형 헬기 중 36대를 도입할
예정입니다. (이번에만 36대로, 그 이전의 발주까지 합하면 총 48대가 주문된 상태죠.) 그 외 대만도 30대
의 아파치 블록 III를 지난 2008년 부시 행정부에서 승인한 도입 사업의 일환으로 인도받을 예정입니다.

© U.S. Army
아파치 블록 III는 제네럴 일렉트릭 (General Electirc)사의 T700-701D 엔진으로 더 강력한 구동 시스템
을 갖춘 것은 물론 합성수지로 만든 메인 로터 블레이드, 신형 트랜스미션 및 향상된 네트워크형 통신시
스템을 채택하고 있다고 보잉 측은 밝히고 있습니다.
미 육군의 목표대로 690여대의 아파치 블록 III가 들어선다면 향후 20-30년간은 아파치 헬기를 현역에서
더 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우리나라가 도입한다면 이보다 더 오래 쓰겠지만요... ㅡ.ㅡ;;;
사진 출처 - 미 육군 Flickr 페이지 (링크)
Flightglobal 기사로 미 육군이 보잉에게 AH-64D 아파치 (Apache) 블록 III의 저율초기생산 (Low Rate
Initial Production, 이하 LRIP) 계약을 줬다는 소식입니다. 지난 10월 22일에 2억4천7백만 달러의 규모로
체결된 이번 계약은 제1 그룹 (Lot 1) 구성으로 8대의 아파치 블록 III를 생산하는 내용이라고 합니다.

© U.S. Army
이번 계약은 지난 10월 7일, 미 국방부가 서명한 획득 결정 각서 (Acquisition Decision Memorandum,
이하 ADM)에 따른 것으로 이 각서는 아파치 프로그램에서 총 51대의 기체를 생산하는 LRIP 단계를 승
인하는 것이라고 하네요.
이번에 발주된 아파치 블록 III 공격헬기들은 미 애리조나주 메사 (Mesa)에 위치한 보잉 시설에서 조립
및 테스트 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보잉 측에 따르면 미 육군은 총 690대의 아파치 블록 III 공격헬기들을
도입한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고 합니다.
얼마 전에 전했던 소식에서 사우디 아라비아가 새로 도입하기로 한 150대의 신형 헬기 중 36대를 도입할
예정입니다. (이번에만 36대로, 그 이전의 발주까지 합하면 총 48대가 주문된 상태죠.) 그 외 대만도 30대
의 아파치 블록 III를 지난 2008년 부시 행정부에서 승인한 도입 사업의 일환으로 인도받을 예정입니다.

© U.S. Army
아파치 블록 III는 제네럴 일렉트릭 (General Electirc)사의 T700-701D 엔진으로 더 강력한 구동 시스템
을 갖춘 것은 물론 합성수지로 만든 메인 로터 블레이드, 신형 트랜스미션 및 향상된 네트워크형 통신시
스템을 채택하고 있다고 보잉 측은 밝히고 있습니다.
미 육군의 목표대로 690여대의 아파치 블록 III가 들어선다면 향후 20-30년간은 아파치 헬기를 현역에서
더 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우리나라가 도입한다면 이보다 더 오래 쓰겠지만요... ㅡ.ㅡ;;;
사진 출처 - 미 육군 Flickr 페이지 (링크)
덧글
72대를 도입해야하는 절대적 필수상황의 전력부족을.. 절반으로 36대 도입하는걸로 가는 그 사업말입죠..
어찌보면 저런 자극들이 한국의 AH-X사업에서의 하이급 건쉽의 운용의 수요나 도입폭을 넓히는 계기가 되지 않을까하네요. 그리고 블록2 중고도입이 아닌 사실상의 블록3를 도입해야하는 상황의 것도 말이죠.
중고보다는 블록 III 도입을 진지하게 고민해야 한다고 봅니다. 중고 아파치의 부품
수급 등의 문제도 있지만 향후 한미 육군 사이의 공조 등을 감안하면 말이죠...
블록3 아파치는 4대강이 모든 정부 예산을 갉아 먹고 있는 판에 불가능해 보이고,
저렴하게 유로콥터나 어거스타 에서 업어 오는것도 괜찮을듯해 보입니다.
건쉽은 정말 지상군에 있어서는 없어서는 안되는 화력지원입니다...
제가 미8군 훈련에 참여해 보아서 아는데 아파치 한대가 담당해 주는 화력지원이 정말 후덜덜 합니다.
정말 아군에게는 큰 안심이 적군에게는 큰 부담으로 다가오죠
터키의 망구스타 모델인 T-129는 좀 쌀 지 모르겠지만... 사실상 거기서 거기죠....
(아놔 노바로직은 왜 코만치를 더 안만드는 겨...읭? 노바로직 아직 살아 있나??!)
블록 3을 바로 구입 할것이 보이지는 않습니다. 아파치 이외에도 돈을 급히 발라야 할 부분이 많은데...
(중동의 S 국 정도면...몰라도...아마 안될거야...)
육군이 도입을 고려 했으면(고려라 쓰고 작심 이라 해석), 도입 하는 거는 뭐... 언젠가는 하겠지만, 도입 시기/종류/수량이 조금씩 걸리것죠. 군에 복무할때 들었던 이야기가 코브라가 지원하는 화력이 대대급 이라고 얼핏 들었던거 같은데, 확실히 전문 건쉽 헬기에 의한 화력지원은 받는 입장에서는 행복 하죠.
개인적으로는 남아공에서 공개 했던 슈퍼 하인드가 더 끌리는...?!
코브라와 아파치의 화력 차이도 그렇지만 야간 작전 능력은 비교불가인 듯...
한다 안 한다 말만 무성하지...수리온을 기본으로 하는 공격헬기 개발안도 있긴 있었는데...
최근 국산 개발 무기 체계가 이런저런 결함이 터져나오는 걸 보면 수리온도 안심할 수가 없지요.
개인적으로는 AH-X사업이 그렇게까지 다급하다는 느낌이 없어요.. 차라리 그냥 무인기깔고갑시다.(....) 이런 수준이랄까..-_-;; 손실율도 높고.. 비싸고..
여타 서비스와 라인 유지등을 고려해도 1기당 거의 2~3000만 달러 수준인데;;; 그냥 전투기 한 대 더 사는게 낫지 않나 싶습니다.;;;;
아무튼 KAI 장학생에 뽑히시길 기원하겠습니다. ^^
그 분야에 열정을 가지고 계신다면 더 없이 좋은 회사겠죠. 대한민국 굴지의 항공업체 아니겠습니까. ^^
어느 정도 제거 못한 상태에서요? 자살특공대도 아닌데 무슨... ^^;;;
(쉬운말로 Show me the money를 입력 할 수 있는 국가...)
하지만 전차전에 대항해 전문화 된 헬기는 어쩔수 없이 가지는 몇가지 기본적인 스팩이 있습니다.
그런데 그 몇가지 스펙이라는 것이 헬기의 가격을 높이는 상황이니...
실제적인 대한민국의 주적인 '북한'의 경우 625의 경험으로 대공 방어에 상당히 신경 쓰는 부분이 보이고, 거기에 대항하여 헬기를 운용해야 하는 대한민국으로서는 '성능'을 매우 중요 하게 볼 수 밖에 없죠. 어영부영 대강 만든 건쉽으로 지원 보냈다가 당하는 후폭풍은 감당하기 힘듭니다.
아파치가 만능+전지전능+무적 은 아니지만, 적어도 '전장환경에서의 생존성'에 있어서는 이미 입증되어 있으니 육방부에서 애타게 노래를 부를 수 밖에 없죠.
500MD - 수리온 기반 공격헬기... 이렇게 대체되어야 하는 걸로 압니다. 공격형 경헬기라면야 저렴한
기종은 차고 넘치죠... 하지만 아파치 같은 공격헬기 기종은 가격이 거의 다 비싼 편이라서...